선형으로 나열되어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스캔하면서 원하는 값을 찾는다.
마지막 인덱스에 찾으려는 값을 추가해서 찾는 과정을 간략화 한다.

(실습 문제가 쉬워보이지만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좋은 문제라고 생각함.)

각 값들을 하나씩 비교해서 지면 인덱스 값을 1 올려줌. 그러면 최종적으로 전부 진 값은 인덱스가 가장 마지막 인덱스 값을 갖게되고 모두 이긴 값은 인덱스 값이 0인 상태로 존재함.


range() 헷갈려서...



깊은 복사를 사용한 정렬

와우~ 뭔가 어렵지 않은듯 하면서 어려움.
정렬되어 있는 자료 배열과 비교해서, 정렬 위치를 찾는다.


자리바꾸는 간단한 방법 중 하나
ns[i], ns[minIdx] = ns[minIdx], ns[i]
깊은 복사를 사용한 또다른 방법

cf) 특정 문자를 아스키코드로 변환하는 함수 ord(문자)
데이터에서 빈도수가 가장 많은 데이터

요약
최빈값을 구하고자 하는 배열의 값을 인덱스로 생각하고 해당 값을 인덱스로 하는 새로운 배열을 만든다. 그리고 그 빈도수 만큼 더한다.
그 뒤 새로운 배열의 최대값을 찾고 이 최대값의 인덱스를 역으로 구하면 원래 배열의 값이 되고 이 최대값은 빈도수가 된다.
특정 값(참값)에 가장 가까운 값을 근사값이라고 한다.

여러 수나 양의 중간값을 갖는 수
평소 평균 구하듯이 하면 된다.
나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것을 재귀라고 한다.

재귀함수의 대표적인 것인 팩토리얼이다.

재귀함수와 같다.
알고리즘문제 단골

다시 병합할때 가장 작은숫자부터 나열한다.


기준 값보다 작은 값과 큰 값으로 분리한 후 다시 합친다.
재귀함수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