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취업 스쿨 스터디 노트 -(38) git log, diff (with vscode)

테리·2024년 7월 30일
0

실행환경

cat 파일명: 해당 파일을 읽어옴
cat > 파일명: 해당 파일이 있으면 덮어 씌우고 없으면 새로 생성
cat >> 파일명: 덮어씌우지 않고 원래있던 내용 밑에 새로 추가

브랜치 생성 후 이동

Git Log

Branch 별 변경이력을 볼 수 있음.

git log

이 로그를 보기 편하게 만든게 vscode에서 설치한 git 그래프 이다.

Git Editor 설정

core.editor를 vscode로 설정했기 때문에 나중에 git config --global -e로 에디터를 열면 vscode로 열림

Git Diff Tool 설정

Git Configuration 파일 열기

global에 설정된 editor 옵션을 수정하겠다.

git config --global -e

이렇게하면 vscode가 실행됨. 이 vscoode 작업이 끝날 때 까지 git bash를 동작할 수 없게 하는 것이 --wait 이라는 기능임.

처음에는 global editor가 vim으로 되어있는데 이상태에서 --global -e를 하면 vscode가 열리는 것이 아니라 해당 명령창에서 수정해야해서 굉장히 불편함. 나가는 방법은 esc -> : -> q!

Git Diff 설정 추가

[diff]
	tool = vscode 
[difftool "vscode"]
	cmd = "code --wait --diff $LOCAL $REMOTE"

Git Diff

Git Diff - Local Branch 간 비교

git diff <branch1> <branch2>

vscode의 difftool을 써서 diff를 확인

Git Diff - Commit 간 비교

git diff <commithash> <commithash>

commithash를 알아야 한다.

Git Diff - 마지막 Commit 과 이전 Commit 비교

git diff HEAD HEAD^

Git Diff - 마지막 Commit 과 현재 수정사항 확인

git diff HEAD

Git Diff - Local and Remote 간 비교

git diff <branch> origin/<branch2>

↑ 리모트에는 마지막 commit이 'cat'으로 되어있는 것이 올라갔음.

↑ 리모트로 올린 뒤 로컬에서는 'pig'를 modify 3로 해서 commit했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