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D: 세부 수준 식(Level Of Detail)
{include[차원1],[차원2]:sum([측정값])}
화면에 포함되지 않은 특정 차원을 포함하여 결과를 계산

'Include_제품 중분류' 계산식 더블클릭.
값이 동일한 이유는 제품 중분류에서 집계한 값을 제품 대분류에서 재 집계 했기 때문이다.

측정값이 합계이므로 아직은 include식을 사용한 값과 매출 합계가 같다.
이것을 최대값으로 바꿔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include 식을 만들 때 '중분류'를 기준으로 만들었으므로 include 최대값은 대분류(가구)에 속한 중분류들 중에서 매출의 최대값을 나타낸 것이고, 최대값 매출은 대분류(가구) 전체 2428개 중에서 최대값을 나타낸 것이다.


화면에 포함된 특정 차원을 제외하여 결과를 계산


exclude식을 만들 때 중분류를 제외하고 매출을 합한다고 했으므로 중분류별 매출 합계가 나오는 '매출' 컬럼과 다르게 exclude 컬럼은 대분류별 합계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분류로 나눠봤자 모두 똑같은 값이 나오는 것이다.
화면에 상관 없이 특정 차원을 고정하여 결과를 계산.
include와 exclude 식 대부분 fixed로 가능함.
제품 대분류 차원에서 매출의 합계를 만든다.


fixed제품 중분류의 경우 제품 중분류 차원에서 매출을 합계했으므로 제대로 나옴. 하지만 fixed제품 대분류의 경우 제품 대분류 차원에서 매출을 합계했으므로 중분류로 나뉘지 않고 대분류 기준으로 총 합계가 모두 동일하게 나온다.

이처럼 exclude, include를 사용한 방법을 fixed로 사용할 수 있다.

신규 유입 고객별 다음 해 매출 기여도
"고객명"을 기준으로 각 고객의 첫 주문 일자를 계산.
2019년으로 설명을 하면 2019년도에 발생한 매출의 고객 정보를 보니 2016년도에 첫 주문한 기록이 있는 고객들은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첫번째 구매일과 두번째 구매일 사이의 경과일을 fixed를 활용해 표현해보기

마우스 우클릭으로 드래그 한 뒤 1st 구매일 제외 불연속형으로 넣어줌.

2번째 구매일 계산식을 만들어줌.

주문일자, 1st 구매일 제외 컬럼 제외

경과일 계산식 만들기

최종 결과



Fixed와 Include 값의 차이가 많이 나는 곳도 있고 많이 안나는 곳도 있다.

Include는 화면에 나타나있는 '시도'를 고려해 위에 수식에서 만들어준 것 처럼 합계를 구하지만, Fixed는 우선 '시군구'를 먼저 고려해 합계를 구한다. 그리고 화면에 올라올 때 다시 한 번 집계되면서 결과값을 만들어 낸다.
'시군구'는 고유한 값이 아니다. 강서구는 서울에도 있고 부산에도 있다. 그래서 Fixed에서는 시도에 따른 강서구의 매출 합계를 집계하지 않는다. 우선 강서구 매출 합계를 다 구하고 서울에 한 번 넣어주고 부산에 한 번 또 넣어준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Fixed를 Include 계산식 처럼 표현하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