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 언제까지 이 탐색을 반복해야 할까?
탐색하는 first와 last 값이 만날 때까지?
first와 last 값이 만났다는 것은 비교할 대상이 하나 남았다는 것이다.(first와 last가 만났을 떄의 값도 비교해야함)
이진탐색의 탐색횟수를 계산해보자
데이터의 수가 n일 때 최악의 경우에 발생하는 비교연산의 횟수는 어떻게 되는가?
즉, 수식으로 표현하면
수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정리된 최종 수식의 양 변에 밑이 2인 로그를 취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즉, 이진탐색은 logn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는 알고리즘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