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젠킨스 파이프라인을 통한 깃허브 웹 훅
📌 차례차례 따라오세요!
젠킨스 다운로드를 마쳐야합니다. 젠킨스에 대해서는 여길 클릭!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3ec3e453-0621-41bf-8c16-cd4167a7f39d/image.png)
Dashboard > Jenkins 관리 > Credentials를 확인하면 현재 발급된 토큰이 없을 것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46358ca4-78b0-40e3-9b4b-4c364ff0f40d/image.png)
우선 깃허브의 자신의 계정 설정을 들어가서 맨 아래 Developer setting을 들어간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7b6f5328-cfb1-4464-87b7-448bed159b8e/image.png)
맨 아래 클래식 토큰을 확인해보면 나에게 발급된 토큰 현황을 볼 수 있다.
기한이 없는 토큰은 계정당 딱 한개만 생성이 가능한데 필자는 Bzeromo라는 토큰이 그러함으로 저 토큰을 삭제하고 새로운 토큰을 생성하여 해당 토큰의 기한을 무기한으로 설정할 것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ce54998c-912b-4f4d-b699-6243d572c45a/image.png)
JenkinsToken을 새로 발급받았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f65a20b5-a986-4b0d-858f-fb1e540598d9/image.png)
다음은 웹 훅 설정이다. 젠킨스로 연동할 레파지토리의 설정에 들어가 웹 훅을 들어간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284440b3-530d-455b-a1ab-26e03ca7a8af/image.png)
Web-Hook을 위해 ngrok 사용이 필요하다.
해당 내용은 여기를 참고.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c3262e8a-2fd5-42f9-8e47-fbbbe197e721/image.png)
Add webhook 에서 받은 url을 넣는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20581512-b227-443b-8474-22ce09c5987f/image.png)
성공적으로 들어간 모습.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815c21e3-f712-477f-982a-da0a91548472/image.png)
이제 전역 토큰을 만들 차례다. Add credentilas를 누르고 입력할 것들을 입력하자.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de5ee125-7ec5-4896-9e8c-f1609ad882e1/image.png)
생성 완료!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4ad50f88-cdd3-4bcd-aeb6-218347516467/image.png)
다음은 파이프라인을 만들 차례다. Pipline을 선택하고 이름을 넣는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6ceeb4a0-599d-4b49-bcb8-33d0152d1fb0/image.png)
연동할 깃허브 프로젝트 url을 넣는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edf7a68e-2df1-4377-996c-53d2039a198b/image.png)
그리고 파이프라인 스크립트에 다음과 같은 스크립트를 넣는다.
아까 만든 토큰의 id와 연동할 깃허브 프로젝트의 url을 넣는다.
❗ url 양식이 바로 위에 넣은 것과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꼭 확인하고 해당 양식처럼 구별하여 넣자.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f53d9864-c236-492f-bcc6-5971f65d7da6/image.png)
여기까지 성공했다면 연동이 완료되었을 것이다. 프로젝트의 README를 수정했더니 빌드 대기 목록에 잠시 프로젝트가 올라온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zeromo/post/653dddc1-dfff-4cda-a7dc-c77f0f63111d/image.png)
이후 status를 확인하면 빌드 현황을 볼 수 있다.
쉽지 않았지만 어찌됐든 자동으로 깃허브의 변화를 알 수 있도록 웹 훅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