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래머에게 프로그래밍의 관점을 갖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개발 방법론
ex)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C++, 자바(jdk 1.8이상)
선언형, 명령형으로 나뉘며, 선언형은 함수형, 명령형은 객체지향과 절차지향으로 다시 나뉜다.🔷 무엇을 풀어내는가에 집중하는 패러다임이자 함수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지향하는 패러다임이다.
🔷 작은 순수 함수들을 블록처럼 쌓아 로직을 구현하고 고차 함수를 통해 재사용성을 높인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
순수 함수
출력이 입력에만 의존하는 것, 다른 전역 변수 등이 출력에 영향을 주면 순수 함수가 아님.
💡
고차 함수
함수가 함수를 값처럼 매개변수로 받아 로직을 생성할 수 있는 것
🔷 프로그래밍의 상태와 상태를 변경시키는 구문의 관점에서 연산을 설명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일종으로 선언형의 반대이다.
🔷 객체들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의 상호 작용을 표현하며 데이터를 객체로 취급하여 객체 내부에 선언된 메서드를 활용하는 방식
추상화, 캡슐화, 상속성, 다형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자바를 공부하면서 많이 다뤘으니 자세한건 넘어간다. (자바 포스팅)
SOLID 원칙을 지켜야한다.단일 책임 원칙(SRP)개방-폐쇄 원칙(OCP)리스코프 치환 원칙(LSP)인터페이스 분리 원칙(ISP)의존 역전 원칙(DIP)🔷 로직이 수행되어야 할 연속적인 계산 과정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 그럼 가장 좋은 패러다임은 무엇일까
"그런 건 없어용."
여러 패러다임을 조합하여 상황과 맥락에 따라 패러다임 간의 장점만 취해 개발하는 것이 베스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