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
CREATE, 제거할 때는 DROP파티션의 종류
| 범위 분할 | 지정한 열의 값을 기준으로 분할 |
| 해시 분할 | 해시 함수를 적용한 결과 값에 따라 데이터를 분할 |
| 조합 분할 | 범위 분할로 분할한 다음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다시 분할하는 방식 |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목표(위중병장)
| 위치 투명성 | 액세스하려는 데이터베이스의 실제 위치를 알 필요 없이 단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명칭만으로 액세스할 수 있음 |
| 중복 투명성 | 동일 데이터가 여러 곳에 중복되어 있더라도 사용자는 마치 하나의 데이터만 존재하는 것처럼 사용하고, 시스템은 자동으로 여러 자료에 대한 작업을 수행 |
| 병행 투명성 |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다수의 트랜잭션들이 동시에 실현되더라도 그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향을 받지 않음 |
| 장애 투명성 | 트랜잭션, DBMS, 네트워크, 컴퓨터 장애에도 불구하고 트랜잭션을 정확하게 처리함 |
RTO/RPO
| RTO(목표 복구 시간) | 비상사태 또는 업무 중단 시점으로부터 복구되어 가동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 |
| RPO(목표 복구 시점) | 비상사태 또는 업무 중단 시점으로부터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기준점 |
암호화
복호화 과정: 암호문을 원래의 평문으로 바꾸는 과정개인키 암호 방식과 공개키 암호 방식이 있음임의 접근통제(DAC)
강제 접근통제(MAC)
역할기반 접근통제(RBAC)
DAS(Direct Attached Storage)
NAS(Network Attached Storage)
SAN(Storage Area Network)
DAS의 빠른 처리와 NAS의 파일 공유 장점을 혼합한 방식으로,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전용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성하는 방식삽입 정렬
O(n²)O(n²)선택 정렬
O(n²)O(n²)버블 정렬
O(n²)O(n²)퀵 정렬
n(n-1)/2힙 정렬
O(nlog2n)O(nlog2n)2-Way 합병 정렬
O(nlog2n)O(nlog2n)통합 구현송·수신 시스템과 모듈, 중계 시스템, 연계 데이터, 네트워크로 구성됨연계 메커니즘로그: 사용자가 컴퓨터에 요청한 명령이나 컴퓨터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 및 결과 등을 기록으로 남긴 것연계 메커니즘의 연계 방식
| 방식 | 설명 | 종류 |
|---|---|---|
| 직접 연계 방식 | 중간 매개체 없이 송·수신 시스템이 직접 연계하는 방식 | DB Link, API/Open API, DB Connection, JDBC 등 |
| 간접 연계 방식 |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 중간 매개체를 두어 연계하는 방식 | 연계 솔루션, ESB, 소켓, 웹 서비스 등 |
연계 서버 / 송·수신 시스템
| 연계 서버 | 데이터를 전송 형식에 맞게 변환하고 송·수신을 수행하는 등 송·수신과 관련된 모든 처리 수행 |
| 송신 시스템 |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의 데이터를 전송 형식에 맞도록 변환 및 송신을 수행하는 시스템 |
| 수신 시스템 | 수신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테이블이나 파일로 생성하는 시스템 |
연계 테스트
송·수신 모듈, 연계 서버, 모니터링 현황이 있음테스트 케이스 작성 - 테스트 환경 구축 - 테스트 수행 - 테스트 수행 결과 검증연계 데이터 보안
송신 시스템에서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연계 데이터는 보안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보안을 적용해야 함
| 전송 구간 보안 | 전송되는 데이터나 패킷을 쉽게 가로챌 수 없도록 암호화 기능이 포함된 프로토콜 사용 |
| 데이터 보안 | 송신 시스템에서 연계 데이터를 추출할 때와 수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운영 DB에 반영할 때 데이터를 암호화 · 복호화 하는 것 |
XML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WSDL(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