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gela Yu Flutter 섹션3 2강

고건·2023년 3월 15일
0

Flutter

목록 보기
2/38

저번 강의에서는 화면에서 생성할 다른 위젯들의 기반이 될 MaterialApp을 만들어봤다.

MaterialApp을 포함함으로서 MaterialApp이 가지고 있는 모든 구성요소 혹은 텍스트, 이미지 등과 같은 위젯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런데 우선 이번 강의에서는, 이 MaterialApp 앱에서 Scaffold 생성을 살펴보려한다.

그래서 앱 바를 가질 수도 있고, 대부분의 앱이 가는 곳에 본체를 가질 수 있고 원한다면 부동소수점 버튼을 가질 수도 있다.

Scaffold 위젯을 사용해 일반 아이템을 화면에 띄울 수도 있다!

Scaffold 위젯은 기능이 엄청 많다, 시간 날때 공식문서 읽어보자 😎

우선 이렇게 해서 Scaffold에 Appbar 이라는 속성을 추가해줬다!

Appbar은 미리 만들어진 Material 디자인인데 앱에 탑업바를 추가해주는 속성이다.

(이것도 공식 문서 보면 다양하게 만들 수 있으니까 참고!)

또 만들어준 Appbar에 'I Am Rich'라는 Title을 추가해줬다.

이번에는 색을 변경해줬는데, 이럴때는 backgroundColor을 사용하면 된다.
(익숙한 Css에서 썼던거... 매우 반가움)

속성을 줄 때는
backgroundColor: Colors.색깔[진한정도]
로 주면 된다.

MaterialApp을 생성할때 아까 배웠듯이, 많은 Material 위젯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Material 색상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https://m2.material.io/design/color/the-color-system.html#tools-for-picking-colors

여기 색깔 다 있으니까 참고!
색깔 말고도 레이아웃이나 디자인 등 도움 받을 수 있는게 엄청 많음 🤩

다음으로는 body의 배경색까지 바꿔줬다.

appbar보다 밑에 있는 backgroundColor은 appbar 위젯 안에 들어가있으니까 appbar의 색깔만 바꿔줬는데, 이렇게 appbar에 들어가지 않고 동일 선상..? 위치..? 에 background를 주니까 배경색 전체가 다 바뀌는걸 볼 수 있다!


이제 필요한것 ➡️ 앱 안에 컨텐츠를 넣기

사진을 넣어주려 하는데 이미지 클래스는 자리 표시자다.
기본값으로 이미지가 있는게 아니라 스크린에 액자를 붙이는 것과 같다.
그래서 그 속성 중 하나를 사용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어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해줄지 말해주는 이미지 속성 같은 것 말이다!

사진을 넣어줬는데 중앙에 맞춰서 넣었다.
코드를 보면 우선
1.body를 추가!
2.Center을 줘서 body 안에 들어가는 내용을 중앙 정렬함
3.body의 child로 Image() 위젯 추가 !
4.네트워크 상의 존재하는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Network Image 위젯 추가


세줄요약 -

1.위젯의 기능은 구글에 검색하면 문서로 진짜 다 나온다. 쓸때 자주 들여다보기!
2.위젯의 위치가 중요하다! 위에서 appbar 안에 넣어준 배경색 위젯은 appbar 색만 바꿔주고, appbar랑 동일 위치에 넣어준 배경색 위젯은 앱의 전체 배경색을 바꿔주는걸 보면 이해하기 쉬움 🤩
3.child를 사용해서 body와 같은 속성들 안에 자식 요소를 줄 수 있다.
사진 넣어줄 때 쓴 코드를 보면 body에 center을 주고 child로 image를 주니까 자식 위젯인 사진이 중앙 정렬된 것을 볼 수 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