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c

위수현·2023년 1월 31일
0

🔎 다음과 같이 게시판을 하나 만들고자 할 때, 작성자들이 새로운 글번호, 제목, 날짜는 갱신되고 누적되지만, 게시판에서 전체 글의 개수와 카테고리는 정해진 수가 있다.

🔎 이와 같이 소스를 작성할 때, 변수개수가 늘어날 때 고정되어야하는 값인 전체 글의 개수와 카테고리가 같이 변하는 출력값을 볼 수 있다.

🔎 그래서 우리가 원하는 출력값은 위 그림처럼 나오게끔 만들어보자.

public class Article{
private static int count;		// 전체 글수
private static String category;	// 카테고리
private int num;				// 글번호
private String title;			// 제목
private String regDate;			// 날짜

}

static을 붙이면 
여러 개의 변수가 생성되지 않는다.

객체간의 공유 자원을 표현하는 static 키워드

🔎 static 키워드는 객체를 만들지 않아도 static선언을 통해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 클래스를 설계할 때, 멤버변수 중 모든 객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해야하는 값에 static을 붙인다.
🔎 static이 붙은 멤버변수는 객체의 개수에 상관없이, 단 하나만 생성되며, 이를 모든 객체가 공유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같은 블록에 있어도 메모리를 차지하는 공간은 다르다.
  • 계속 static을 선언하면 코테때 감점요소가 될 수 있음.
    => 상황에 맞게 사용하자
      

컴퓨터의 메모리 구조

🔎 코드 영역(고정 영역)

  •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
  • 이 영역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cpu가 하나씩 서가져가 실행한다.

🔎 데이터 영역(고정 영역)

  • static으로 선언되는 변수가 할당된다.
  • 이 영역에 할당되는 변수들은 프로그램 시작과 동시에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종료될때 까지 남아있게 된다.

🔎 힙 영역(동적 영역)

  •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시점에 변수를 할당하고
    소멸시키는 영역
  • 메모리 동적 할당시 사용된다.
  • 객체가 생성되는 영역

🔎 스택 영역(동적 영역)

  • 함수가 실행될 때 사용되는 파라미터와
    지역변수에 대한 메모리 공간
  • 함수의 종료와 함께 소멸된다.

고정영역 vs 동적영역

🔎 고정영역

  •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실행파일이 메모리에
    로드되면서, 실행파일의 용량만큼 RAM을 사용한다.
  • 실행 파일의 크기는 변할 수 없으므로 이 영역의
    크기는 고정 크기를 갖는다.

🔎 동적영역

  • 프로그래머가 new 키워드를 사용해서
    객체나 배열을 생성하며 사용됨
  • 또 다른 경우는 메서드가 호출되는 동안
    사용될 파라미터와 지역변수가 생성된다.
  • 메서드가 종료되거나 객체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면 생성된 변수나 객체는 메모리에서 사라지므로, 이 영역은 유동적인 크기를 갖게 된다.

멤버변수와 static 멤버변수의 차이

🔎 static 변수는 프로그램의 실행과 동시에 객체의 생성 여부와 상관 없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소스 코드에서는 특정 클래스 안에 명시하지만, 그 클래스를 통해서 생성되는 객체나 그 안에 포함되는 멤버변수와는 다른 존재이다.

🔎 객체가 생성되지 않았더라도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static 변수는 객체의 이름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클래스의 이름을 통해서 접근해야 한다.

🔎 단, static 변수가 선언된 클래스 안에서는 변수 이름으로 직접 접근이 허용된다.

🔎 Article 클래스 및 다른 클래스에서 접근하는 경우

  -> Article.count = 3;
  -> Article.category = "공지사항";

🔎 Article 클래스에서 접근하는 경우

	-> count = 3;
	-> category = "공지사항";

<예제>

profile
수현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