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03] 백준 2573 빙산

UBIN·2023년 4월 26일
0
post-custom-banner

문제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북극의 빙산이 녹고 있다. 빙산을 그림 1과 같이 2차원 배열에 표시한다고 하자. 빙산의 각 부분별 높이 정보는 배열의 각 칸에 양의 정수로 저장된다. 빙산 이외의 바다에 해당되는 칸에는 0이 저장된다. 그림 1에서 빈칸은 모두 0으로 채워져 있다고 생각한다.

그림 1. 행의 개수가 5이고 열의 개수가 7인 2차원 배열에 저장된 빙산의 높이 정보

빙산의 높이는 바닷물에 많이 접해있는 부분에서 더 빨리 줄어들기 때문에, 배열에서 빙산의 각 부분에 해당되는 칸에 있는 높이는 일년마다 그 칸에 동서남북 네 방향으로 붙어있는 0이 저장된 칸의 개수만큼 줄어든다. 단, 각 칸에 저장된 높이는 0보다 더 줄어들지 않는다. 바닷물은 호수처럼 빙산에 둘러싸여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그림 1의 빙산은 일년후에 그림 2와 같이 변형된다.

그림 3은 그림 1의 빙산이 2년 후에 변한 모습을 보여준다. 2차원 배열에서 동서남북 방향으로 붙어있는 칸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그림 2의 빙산은 한 덩어리이지만, 그림 3의 빙산은 세 덩어리로 분리되어 있다.

그림 2

그림 3

한 덩어리의 빙산이 주어질 때, 이 빙산이 두 덩어리 이상으로 분리되는 최초의 시간(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그림 1의 빙산에 대해서는 2가 답이다. 만일 전부 다 녹을 때까지 두 덩어리 이상으로 분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0을 출력한다.

입력

첫 줄에는 이차원 배열의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두 정수 N과 M이 한 개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과 M은 3 이상 300 이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배열의 각 행을 나타내는 M개의 정수가 한 개의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칸에 들어가는 값은 0 이상 10 이하이다. 배열에서 빙산이 차지하는 칸의 개수, 즉, 1 이상의 정수가 들어가는 칸의 개수는 10,000 개 이하이다. 배열의 첫 번째 행과 열, 마지막 행과 열에는 항상 0으로 채워진다.

출력

첫 줄에 빙산이 분리되는 최초의 시간(년)을 출력한다. 만일 빙산이 다 녹을 때까지 분리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풀이

DFS를 사용해서 풀었다. 탐색 시 현재 위치 주변으로 0인 값이 있다면 카운팅하고 탐색을 종료했을 때 for문을 통해 DFS를 실행한 횟수가 1회라면 카운팅한만큼 높이를 빼주는 방식이다.

먼저 빙산이 존재하는 좌표를 가져오기 위해 ice_pos = deque()로 선언 하였다.
좌표마다 주변으로 0이 몇개 있는지 저장하는 sub 리스트도 선언하였다. 몇개를 빼야하는지 정보를 가진 리스트로 sub이라 지었다.

전체코드

def dfs(x, y):
    visit[x][y] = 1

    for dx, dy in dir:
        nx, ny = x + dx, y + dy
        if nx < 0 or nx > n - 1 or ny < 0 or ny > m - 1:
            continue
        # 0 만나면 빼야할 개수 누적
        if graph[nx][ny] == 0:
            sub[x][y] += 1
        # 탐색
        elif not visit[nx][ny]:
            dfs(nx, ny)
    
n, m = map(int, input().split())
graph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visit = [[0] * m for _ in range(n)]
sub = [[0] * m for _ in range(n)]
ice_pos = deque()
dir = [(-1, 0), (0, -1), (1, 0), (0, 1)]
ans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graph[i][j]:
            ice_pos.append((i, j))

while ice_pos:
    count = 0

    # 탐색
    for i, j in ice_pos:
        if not visit[i][j]:
            dfs(i, j)
            count += 1

    # 영역이 1개라면 빼야할 높이 만큼 빼준다
    # sub, visit 0으로 다시 돌려놓음
    # 영역의 높이가 아직 남아 있으면 pop했던 좌표 다시 append로 집어넣음
    if count == 1:
        k = len(ice_pos)

        for _ in range(k):
            i, j= ice_pos.popleft()
            graph[i][j] -= sub[i][j]
            sub[i][j] = 0
            visit[i][j] = 0

            if graph[i][j] <= 0:
                graph[i][j] = 0
                continue

            ice_pos.append((i, j))
    else:
        break

    ans += 1

if ice_pos:
    print(ans)
else:
    print(0)

While문을 탈출했을 때 영역이 2개이상이여서 탈출했다면 ice_pos에 빙산의 좌표가 남아있을 것이고 영역이 나뉘지는 않았지만 더이상 녹일 빙산이 없다면 ice_pos에 좌표가 없을것이므로 if else로 구분해주었다.

profile
ubin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