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custom-banner

Bubble Sort

버블 정렬이란 서로 인접한 두 원소의 크기를 비교 후, 조건에 따라 자리를 교환하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동작과정

코드 (bubble sort)

import sys
import random
input = sys.stdin.readline

def bubble_sort(a, n):
    for i in range(n - 1):
        for j in range(n - 1, i, -1):
            if a[j] < a[j - 1]:
                a[j], a[j - 1] = a[j - 1], a[j]
    print(f'bubble_sort: {a}')
    
# 버블 정렬 개선
# 어느 패스에서 교환이 한번도 일어나지 않으면 종료
def bubble_sort_1(a, n):
    for i in range(n - 1):
        exchng = 0
        for j in range(n - 1, i, -1):
            if a[j] < a[j - 1]:
                a[j], a[j - 1] = a[j - 1], a[j]
                exchng += 1
        if exchng == 0:
            break
    print(f'bubble_sort_1: {a}')

N = int(input())
arr = random.sample(range(1, N + 1), N)

print(f'정렬 전: {arr}')
bubble_sort(arr[:], N)
bubble_sort_1(arr[:], N)
정렬 전: [10, 6, 8, 7, 3, 2, 9, 5, 1, 4]        
bubble_sort: [1, 2, 3, 4, 5, 6, 7, 8, 9, 10]    
bubble_sort_1: [1, 2, 3, 4, 5, 6, 7, 8, 9, 10]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 10까지의 숫자가 뒤죽박죽 섞여있다 가정하자.

  • [9]값을 [0]까지 비교하면서 순서를 바꿔준다.
  • [9]값을 [1]까지 비교하면서 순서를 바꿔준다.
    .......
  • [9]값을 [8]까지 비교하면서 순서를 바꿔준다.

위의 과정을 총 n-1번 반복하게 된다.

bubble sort의 경우 시간 복잡도는 O(n^2)이다.
값이 같은 원소의 순서는 정렬한 후에도 같은 stable sort이다.

Selection Sort

가장 작은 원소부터 선택해 알맞은 위치로 옮기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동작과정

코드 (selection sort)

def selection_sort(a, n):
    for i in range(n - 1):
    	# 가장 작은 원소의 인덱스
        min = i
        for j in range(i + 1, n):
            if a[j] < a[min]:
                min = j
        a[i], a[min] = a[min], a[i]

    print(f'정렬 후: {a}')

N = int(input())
arr = random.sample(range(1, N + 1), N)

print(f'정렬 전: {arr}')
selection_sort(arr[:], N)
정렬 전: [2, 8, 7, 4, 9, 10, 5, 6, 1, 3]        
정렬 후: [1, 2, 3, 4, 5, 6, 7, 8, 9, 10]

과정은 다음과 같다.

  • [0]값을 [9]까지 비교하면서 가장 작은 값을 가진 인덱스 캐싱 후 [0]값과 캐싱한값 교환
  • [1]값을 [9]까지 비교하면서 가장 작은 값을 가진 인덱스 캐싱 후 [1]값과 캐싱한값 교환
    .......
  • [8]값을 [9]까지 비교하면서 가장 작은 값을 가진 인덱스 캐싱 후 [1]값과 캐싱한값 교환

위의 과정을 총 n-1번 반복하게 된다.

selection sort의 경우 시간 복잡도는 O(n^2)이다.
서로 이웃하지 않는 떨어져 있는 원소를 교환하므로 unstable sort이다.

Insertion Sort

주목한 원소보다 더 앞쪽에서 알맞은 위치로 삽입하며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동작과정

코드 (insertion sort)

import sys
import random
input = sys.stdin.readline

def insertion_sort(a, n):
    for i in range(1, n):
        j = i
        tmp = a[i]
        while j > 0 and a[j - 1] > tmp:
            a[j] = a[j - 1]
            j -= 1
        a[j] = tmp
    print(f'정렬 후: {a}')

N = int(input())
arr = random.sample(range(1, N + 1), N)

print(f'정렬 전: {arr}')
insertion_sort(arr[:], N)
정렬 전: [3, 10, 7, 9, 2, 4, 8, 6, 5, 1]        
정렬 후: [1, 2, 3, 4, 5, 6, 7, 8, 9, 10]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값을 앞의 원소와 비교해서 작으면 계속 자리를 바꾸다 크거나 같은값을 만나면 멈추고 해당 자리에 삽입
  • [2]값을 앞의 원소와 비교해서 작으면 계속 자리를 바꾸다 크거나 같은값을 만나면 멈추고 해당 자리에 삽입
    .......
  • [9]값을 앞의 원소와 비교해서 작으면 계속 자리를 바꾸다 크거나 같은값을 만나면 멈추고 해당 자리에 삽입

위의 과정을 총 n-1번 반복하게 된다.

삽입 정렬의 경우 큰값을 만나게 되면 앞부분은 이미 정렬을 마쳤다는 보장이 있다.
거의 정렬이 완료된 배열을 대상으로는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

insertion sort의 경우 시간 복잡도는 O(n^2)이다.
서로 떨어져 있는 원소를 교환하지 않으므로 stable sort이다.

Quick Sort

투 포인터 분할 정렬 알고리즘이다. 중간 인덱스의 원소를 기준으로 정렬을 진행하다 포인터끼리 교차했을 때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똑같은 과정을 진행해준다.

동작과정

코드 (quick sort)

import sys
import random
input = sys.stdin.readline

def quick_sort(a, left, right):
    pl = left
    pr = right
    pivot_val = a[(left + right) // 2]

    while pl <= pr:
        while a[pl] < pivot_val: pl += 1
        while a[pr] > pivot_val: pr -= 1

        if pl <= pr:
            a[pl], a[pr] = a[pr], a[pl]
            pl += 1
            pr -= 1

    if left < pr: quick_sort(a, left, pr)
    if pl < right: quick_sort(a, pl, right)

N = int(input())
arr = random.sample(range(1, N + 1), N)
sorted_arr = arr[:]

print(f'정렬 전: {arr}')
quick_sort(sorted_arr, 0, N - 1)
print(f'정렬 전: {sorted_arr}')
정렬 전: [7, 3, 5, 6, 10, 1, 9, 8, 4, 2]        
정렬 전: [1, 2, 3, 4, 5, 6, 7, 8, 9, 10]

과정을 글로 설명하겠다.

좌측 포인터가 가르키는 값이 피벗값과 같거나 클때까지 옮긴다.
우측 포인터가 가르키는 값이 피벗값과 같거나 작을때까지 옮긴다.
그 때 좌측 포인터와 우측 포인터의 위치를 비교하고 값을 교환해주고 다시 옮겨준다.

위 과정을 두 포인터가 교차할 때까지 진행한다.
교차하고 나면 두 그룹으로 나누어 똑같이 진행해준다.

시간 복잡도는 O(nlogn)이다. 최악의 경우에는 O(n^2)이다.
unstable sort이다.

Merge Sort

배열을 앞부분과 뒷부분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정렬한 후 병합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알고리즘이다.

동작과정

코드 (merge sort)

import sys
import random
input = sys.stdin.readline

def merge_sort(a, left, right):

    def _merge_sort(a, left, mid, right):
        i = left
        j = mid + 1
        k = left

        while i <= mid and j <= right:
            if a[i] < a[j]:
                sorted[k] = a[i]
                i += 1
            else:
                sorted[k] = a[j]
                j += 1
            k += 1

        if i > mid:
            for t in range(j, right + 1):
                sorted[k] = a[t]
                k += 1
        else:
            for t in range(i, mid + 1):
                sorted[k] = a[t]
                k += 1

        for t in range(left, right + 1):
            a[t] = sorted[t]

    if left < right:
        sorted = [0] * N
        mid = (left + right) // 2
        merge_sort(a, left, mid)
        merge_sort(a, mid + 1, right)
        _merge_sort(a, left, mid, right)

N = int(input())
arr = random.sample(range(1, N + 1), N)
sorted_arr = arr[:]

print(f'정렬 전: {arr}')
merge_sort(sorted_arr, 0, N - 1)
print(f'정렬 전: {sorted_arr}')
정렬 전: [9, 4, 8, 7, 10, 6, 2, 5, 3, 1]        
정렬 전: [1, 2, 3, 4, 5, 6, 7, 8, 9, 10]

분할을 마치고 병합을 하는게 키포인트이다.
현재의 나는 이해한 상태나 혹시나 까먹었을 때를 대비해 코드를 참고했던 영상 링크를 걸겠다.
https://youtu.be/ctkuGoJPmAE?t=394

시간 복잡도는 O(nlogn)이고, stable sort이다.

Heap Sort

완전 이진 트리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동작과정

코드 (heap sort)

import sys
import random
input = sys.stdin.readline

def heap_sort(a):
    
    def down_heap(a, start, end):
        temp = a[start]
        parent = start

        while parent < (end + 1) // 2:
            cl = parent * 2 + 1
            cr = cl + 1
            child = cr if cr <= end and a[cr] > a[cl] else cl

            if temp >= a[child]:
                break

            a[parent] = a[child]
            parent = child

        a[parent] = temp

    n = len(a)

    for i in range(n // 2, -1, -1):
        down_heap(a, i, n - 1)

    for i in range(n-1, 0, -1):
        a[0], a[i] = a[i], a[0]
        down_heap(a, 0, i - 1)

N = int(input())
arr = random.sample(range(1, N + 1), N)
sorted_arr = arr[:]

print(f'정렬 전: {arr}')
heap_sort(sorted_arr)
print(f'정렬 전: {sorted_arr}')
정렬 전: [1, 3, 9, 8, 6, 7, 10, 4, 5, 2]        
정렬 전: [1, 2, 3, 4, 5, 6, 7, 8, 9, 10]

필자는 down_heap 방식으로 힙 상태를 만들어 주었다.
내가 이해한 방식대로 적어보겠다.

부모노드가 될 수 있는 노드 중 마지막 노드부터 자신의 값과 자식의 값을 비교하여 작다면 끌어내려서 적절한 자리를 찾아가도록 하는 방식이다.

모든 부모노드를 대상으로 1번씩 down_heap을 진행해주면 완전 이진 트리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되면 root노드의 값이 최대값이 된다. 그러면 첫번째 원소와 마지막 원소를 교환 해주고 다시 루트 노드를 대상으로 down_heap을 한번 진행해주면 된다.

즉, 값을 교환할 때마다 루트 노드를 대상으로 down_heap을 진행해주어야 한다.

up_heap도 구현할 줄 알아야한다.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배열에 값을 추가하면서 힙을 만들기 위해서는 up_heap을 사용해야하기 때문이다.

시간 복잡도는 O(nlogn)이고, unstable sort이다.

참고 코드 (heapify)

def heapify_up():
    n = len(a)
    
    start = n - 1
    child = start
    tmp = a[start]

    while child > 0:
        parent = (child - 1) // 2

        if a[parent] >= tmp:
            break

        a[child] = a[parent]
        child = parent

    a[child] = tmp

def heapify_down():
    n = len(a)

    if n == 0:
        return 

    start = 0
    parent = start
    tmp = a[start]

    while parent < n // 2:
        cl = parent * 2 + 1
        cr = cl + 1
        
        if cr > n-1:
            child = cl
        else:
            child = cr if a[cr] > a[cl] else cl

        if a[child] <= tmp:
            break

        a[parent] = a[child]
        parent = child

    a[parent] = tmp

Counting Sort

원소의 대소 관계를 판단하지 않고 빠르게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동작과정

Counting Sort

코드 (counting sort)

import sys
import random
input = sys.stdin.readline

def counting_sort(a):
    def fsort(a, max):
        n = len(a)
        f = [0] * (max + 1)
        b = [0] * n

        for i in range(n): f[a[i]] += 1
        for i in range(1, max + 1): f[i] += f[i-1]
        for i in range(n-1, -1, -1): f[a[i]] -= 1; b[f[a[i]]] = a[i]
        for i in range(n): a[i] = b[i]

    fsort(a, max(a))

N = int(input())
arr = random.sample(range(1, N + 1), N)
sorted_arr = arr[:]

print(f'정렬 전: {arr}')
counting_sort(sorted_arr)
print(f'정렬 전: {sorted_arr}')
정렬 전: [3, 8, 5, 9, 10, 7, 4, 2, 1, 6]        
정렬 전: [1, 2, 3, 4, 5, 6, 7, 8, 9, 10] 

먼저 배열의 값중 가장 큰값의 길이만큼의 f배열을 0으로 초기화 하여 만들어준다.

  1. 배열의 앞에서 부터 값을 읽어나가면서 값을 인덱스로 가지는 f의 값을 1씩 증가시켜준다.
  2. 누적 도수 분포표를 만든다. 결과를 저장할 배열 b를 만든다.
  3. 원래 배열의 뒤에서부터 값을 인덱스로 가지는 f, 그 f의 값-1을 인덱스로 가지는 b의 값을 원래 배열의 값으로 한다.

시간 복잡도는 O(n)이다.
3번째 for문에서 스캔을 뒤부터 해주고 있는데 이 때만 stable sort이고, 앞에서부터 스캔하는 방식으로 구현한다면 unstable sort이다.

정렬 알고리즘 속도 비교

참고

profile
ubin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