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시스템으로 활용되는 레드헷ㅇ이나 수세 리눅스는 큰 기업이나 기관을 대상으로 배포되는 리눅스여서 우분투, Linux Mint 등의 데비안 계열 리눅스보다 CPU,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 요구사항이 크다.
최근에 배포되는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을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고 시스템에 문제점이 발생했을 경우 적절한 조치를 위해 하드웨어의 정확한 정보 파악은 필수다.
특히 CPU,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
cat /proc/cpuinfo
lscpu
등의 명령어로 CPU 정보를 확인할 수 있따.
메모리 용량은 하드 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램처럼 사용하는 swap 파티션 설정과 관련 있으므로 꼭 확인!
리눅스는 모든 장치를 파일화 하여 관리하므로 하드 디스크 인터페이스에 따라 파일명이 달라진다.
예) IDE 디스크 : /dev/hda
, /dev/hdb
SCSI, S-ATA, USB 메모리, SSD : /dev/sda
, /dev/sdb
최소 30GB 이상으로 설정하는것을 권장!
X-window 사용할때 중요!
XGA(1024*768)
이상의 해상도를 지원하여 정확한 그래픽 카드 칩셋과 모니터를 설정하지 않아도 표준 XGA 호환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와 같이 자동으로 인식. /dev/cdrom
, /dev/dvd
이름으로 심볼릭 링크를 생성하여 제공.
여러개의 하드디스크가 있을 때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에 중복하여 저장하는 방법.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저장하여 입출력 작업이 균형을 이루게 되어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핫스왑(Hot Swap)
베이(Bay)
전원이 켜있는 상태에서 하드 드라이브를 교채할 수 있음!
찰흙과 같은 개념!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하나로 뭉쳐서 하나의 디스크 인 것처럼 만들 수도 있고, 2개의 디스크를 3개의 하드디스크 인 것처럼 만들 수도 있다.
파티션 확장은 디스크를 추가한 후에 간단한 명령으로 데이터 이전 없이 손쉽게 가능하다!
1PE가 4MB정도씩
할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