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S 공격에 대한 대응책패킷 및 포트 필터링을 통한 진입 차단을 위해 방화벽(Firewall) 을 이용공격 탐지를 위해 침입 탐지 시스템(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이용 공격 탐지+방지를 위해 침입 방지 시스템(IPS, Intrusi
약간 정보처리기사에서도 많이 봤던 내용인데... 보안은 어렵다옹시스템이나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취약점을 공격하여 정상적인 서비스를 할수 없게 방해하는 것으로 보통 과부하를 발생시켜 데이터나 자원을 잠식한다!!!!!1) 데이터나 시스템 파괴 ! 2) CPU, 메모리, 디스
리눅스가 서버 컴퓨터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게 이런 부분이 아닐까 싶은데.... 서버 관리자가 되어본적이 없어서 피부에 와닿는 게 없네여 ; 그래도 한단어라도 붙잡으면 언젠가 쓸모있겠지 싶음.리눅스가 본격적으로 서버로 활용될 시절(2.2ver)에서는 inetd(i
요새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가상화 기술, Docker, 오랜 숙원 Kubernates 근데 왜 도커 서비스 종료한걸까?... 여튼..
DNS의 기원이 되었다는 그 /etc/hosts 파일.. 근데 이게이게 확장이 되어서 아예 DNS Server를 구성해버렸다. 벨로그의 물리적인 DNS Server는 어디있을까? 궁금해지네... Prime Name Server : 마스터 DNSSecondary Name
그냥.. 스팸메일 겁나 많은데... 그 메일들만 다 지워도 물리적인 서버 몇백대는 줄어들지 않을까? 도대체 스팸메일은 왜보내는거여 정말.. 깨끗해진 서버로 더 건전한 무엇을 하면 좋으련만 ... ㅎㅎ;;; 아무말대잔치SMTP(Simple Mail Transfer Pro
파일시스템과 전쟁하다가 지친 오늘이다.... 파일 중요하다.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OS와 윈도우 OS 간의 자료 및 하드웨어를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TCP/IP 기반의 NetBIOS 상에서 동작하는 SMB 프로토콜을 사용한다.configure, make, make i
백업은 참 중요하다. 하드웨어 결함, 소프트웨어의 버그, 사람의 실수나 오동작, 천재지변.... 과 같은 이유로 자료가 손실되는데 이 때 시스템과 떨어진 곳에 자료를 저장하면 자료를 보호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꾸준히 하기가 쉽지 않은 습관 ㅎㅎㅎ백업 대상 선택쉽게
요새 제일 애먹는 부분이 아닌지...ㅎㅎㅎ 싶은.. 리눅스 보안 및 인증 !! 연결이 어렵다는건 그만큼 보안이 강력하다는게 아닌가 싶다. 아무에게나 ssh 접속을 열어줘서는 안되고... 어쩌면 root 권한을 남발하고 있는 현재 상태가 그닥 좋은 건 아닌거 같다.
솔직히 이쪽은 써본 적이 거의 없어서..... ㅎㅎㅎ 외워야지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표준 메시지가 기록되는 파일. 대부분이 여기 쌓이고 root만이 읽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인증을 기반으로 접속과 관련된 로그가 기록. 보통 login(telnet, ssh), tcp_
리눅스 장치 관련 문제는 단골인듯! 꼭 알아두기!CentOS7에 LVM은 lvm2라는 패키지 이름으로 설ㄹ치되어있고, 리눅스 설치 시에 자동 파티션을 생성하면 LVM 기반으로 할당된다. LVM의 구성은 PV -> VG -> LV 순으로 순차적으로 구성한다.LV의 이름을
2.리눅스 시스템 관리 / 2.장치 관리 / 2.2.1 장치의 설치 및 관리모듈 관리는 중요하다... 예전에 들었던 말 같은데... 아직 쉽사리 와닿지 않는 주니어 개발자; ㅎㅎ 그래도 최근에 faiss-server 구축 시도하면서 module화 된 소스를 설치했던 경
소프트웨어 설치는 거의 매일(?) 프로젝트마다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그때마다 구글에 검색해서 하는데.. 물론 이걸 정리한다고 해도 구글에 검색하는 건 변하지 않을것 같지만...그래도 시야가 넓어질 것 같다. 리눅스 마스터 1급 합격은 덤 ! 아 생각해보니까 d
제일 많이쓰는 명령어 top, kill, ctrl+z -> bg, nohup 프로세스 관리!!사용자가 로그아웃하거나 작업중인 터미널 창이 닫혀도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작업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이다.프로세스를 이름 기반으로 검색하는 명령으로 PID
Set-UIDSet-GIDSticky-Bit1\. chmod2\. chown3\. chgrp4\. umaskln하드 링크심볼릭 링크fdiskmkfsmke2fsmkfs.xfsmountunmounteject/etc/fstab/etc/mtabblkidfsck(Filesyst
useraddpasswdsu(substitute user)/etc/passwd/etc/shadow/etc/default/useradd/etc/login.defs/etc/skelusermoduserdelpasswdchagechpasswd/etc/group/ect/gsha
요새 앱을 띄우면서 리눅스 컴퓨터를 서버로 활용하는 일이 빈번하게 있는데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는 netstat, iptables, ping 정도인 것 같다. 내용을 자세히 파면 보는 시야가 더 넓어지지 않을까?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가장 먼저 네트워크
내일 아침에 이어서...ㅎㅎ스타형버스형링형망형IP주소와 도메인
1.리눅스 실무의 이해 / 2.리눅스 시스템의 이해 / 1.2.5 프로세스리눅스는 한번에 수 백 여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동시에 수행할 수 있엉.프로그램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나 유틸리티의 집한인데,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Proce
셸은 커널과 사용자 간의 다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그것을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현재는 bash, ksh, tcsh,zsh과 같은 다양한 셸이 있고, 리눅스는 sh를 기본으로 ksh와 csh의 장점을 결합한 bahs(Bourn
텍스트 모드 런레벨 3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X윈도 모드 런레벨 5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요청하고 유효한 값이 입력되면 세션을 시작해주는 역할GU
GRUB : GNU 프로젝트에서 만든 부트 로더/boot/grub2/grub.cfg : GRUB 환경 설정 파일/etc/grub2.cfg : 위의 환경 설정 파일의 심볼릭 링크grub2-mkconfig : GRUB 환경 설정 파일을 수정 후 반드시 실행
서버 시스템으로 활용되는 레드헷ㅇ이나 수세 리눅스는 큰 기업이나 기관을 대상으로 배포되는 리눅스여서 우분투, Linux Mint 등의 데비안 계열 리눅스보다 CPU,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 요구사항이 크다.최근에 배포되는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을 하드웨어
gcc, emacs, GNOME, GNU tar구속되지 않는다의 관점에서의 소프트웨어 생산, 보급, 발전!copyleftBrain운영체제의 핵심시스템의 하드웨어 제어 도모Minix -> 리누스 토발즈가 POSIX에 호환되는 운영체제 커널을 만듦.1991년 9월 17일다
1.리눅스 실무의 이해 / 1.리눅스 실무의 이해 / 1.1.1 리눅스의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