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n | lost | reserve | return |
---|---|---|---|
5 | [2, 4] | [1, 3, 5] | 5 |
5 | [2, 4] | [3] | 4 |
3 | [3] | [1] | 2 |
예제 #1
1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5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예제 #2
3번 학생이 2번 학생이나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4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def solution(n, lost, reserve): can_borrow = list(map(lambda student: student in reserve, range(1,n+1))) answer = n-len(lost) for i in lost: if i in reserve: answer += 1 can_borrow[i-1] = False elif (i-1)-1 >=0 and can_borrow[(i-1)-1] == True and i-1 not in lost: answer += 1 can_borrow[(i-1)-1] = False elif (i-1)+1 < n and can_borrow[(i-1)+1] == True and i+1 not in lost: answer += 1 can_borrow[(i-1)+1] = False return answer
정확성 테스트: ~0.02ms / 10.3MB
요즘은 항상 문제에 접근할 때 최대한 간결하게 푸는 관점으로 접근한다.
하지만 그게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코드가 좋은 것 같다.
우선 can_borrow에는 여벌 체육복이 있는지 여부를 T/F로 표현해 번호순으로 배열에 담았다.
(람다함수의 의미는, 1~n번 student가 reserve에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
후에 for문을 거쳐서 여벌이 있지만 체육복을 잃어버렸거나, 여벌도 있고 체육복도 안 잃어버렸지만 이미 다른 사람한테 빌려준 경우에는 해당 번호를 False로 바꿔줄 것이다.
여별 체육복을 빌려주는 것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육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은 체육복을 도난 당하지 않은 학생의 수와 같으므로 n에서 lost의 길이만큼을 뺀만큼을 answer로 초기화한다.
for문에서는 앞서 말한대로 lost에 포함된 학생들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볼 것이다.
if문의 의미는 '체육복을 도난당한 i번 학생이 여분 체육복을 갖고 있는가?'이다.
만약 그렇다면 이 학생은 수업을 들을 수 있으므로 answer에 1을 더해주고, 또한 이 학생은 다른 사람한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으므로 can_borrow의 i번째 인자를 False로 바꿔준다.
두 elif 문장의 의미 자체는 같다. 다만 첫 번째 elif는 앞의 학생에 대해 묻는 거고 두 번째는 뒤의 학생에 대한 문장이다.
앞이든 뒤든, 아무튼 이웃한 학생의 index가 in range이고, 그 학생은 여분의 체육복이 있고, 또한 체육복을 도난당하지 않았다면, i번째 학생한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럼 마찬가지로 answer에 1을 더해주고 해당 can_borrow를 False로 바꿔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