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C 패턴이 적용된 Spring Framework → Spring MVC Spring 에서는 DispatcherServlet 클래스가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Spring MVC 의 주요 구성요소 DispatcherServlet : 클라이언트의
response 객체response.sendRedirect("이동할\_페이지명");ex) response.sendRedirect("http://www.daum.net"); //외부 사이트로 이동ex) response.sendRedirect("./req.j
○ jQeury 의 대표적인 선택자 3가지$()css에서 일반적으로 선택자를 사용하는데 자바스크립트에서도 사용하게 해두었다.타입 선택자(요소 선택자 : 엘리먼트 선택자)페이지 상의 모든 요소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 다음과 같이 기술하면 된다.『$("p")』 cf. ${
$(document).ready(function() { $('#employee_details2').on('beforeShow', function() { console.log('Submodal beforeShow event'); }).o
info.jspindo.jsp는 <jsp:param> 액션 태그를 사용하여 infoSub.jsp에 type 파라미터의 값으로 A를 전달한다. infoSub.jspinfoSub.jsp는 type 파라미터의 값이 A일 때는 "강한 내구성"을 출력하므로info.jsp를
request 기본 객체는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 요청 정보를 담고 있고,response 기본 객체는 웹 브라우저에 보내는 응답 정보를 담는다.example) 로그인 후, 첫 페이지로 이동
프로젝트 만든후 jsp파일 만들었을때 빨간줄이 가있다.에러를 확인하니The superclass "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이런 메시지가 보인다.해결 : 프로젝트 우클릭 ->
JSP 출력 버퍼(Buffer)JSP는 기본적으로 페이지 처리결과를 곧바로 클라이언트로 출력하여 응답하지 않고, 출력 버퍼에 모아두었다가 한꺼번에 응답 합니다.버퍼 사용시 장점굳이 곧바로 출력하지 않고 버퍼에 모아두었다가 처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있기 때문
포워딩(Forwarding) 요청을 포워딩할 때 해당 요청은 서버의 다른 자원에 전달된다. 이 때에는 다른 자원에서 이 요청을 처리할 것을 클라이언트에게 알리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식의 처리는 웹 컨테이너 안에서만 일어나고 클라이언트는 알 수
ex) 클라이언트 서버 A.html → B.jsp A.html → B.java(Servlet) A.jsp → B.jsp A.jsp → B.java(Servlet)HTML 페이지에는 태그 및 action. method 속성 필요 이나 태
JSP(Java Server Pages)Dynamic 웹 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방법으로 제공하는 자바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스크립트 언어(Server Side Script)로 자바 엔터프라이즈 어플리케이션에서 UI(User Interface) 영역을 담당하고 있다.J
MVC 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그 구성요소를 세가지의 역할로 구분한 패턴MVC패턴은 디자인패턴 중 하나입니다. 디자인 패턴이란 프로그램이나 어떤 특정한 것을 개발하는 중에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 요청한 페이지의 결과를 확인한 후 새로고침을 반복해보면... a 변수(선언부에 선언한 변수) 값만 계속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 변수 값만 계속 증가하는 이유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서블릿(Servlet) 코드를 분석해 보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