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기초]오라클_JOIN

현서의 성장일지·2024년 4월 17일
1

SQL

목록 보기
5/14

순서대로 t1, t2, t3

🌵 inner join : 내부조인, 교집합

두 테이블을 연결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내부 조인이다. 그냥 조인이라고 부르면 내부 조인을 의미한다.

select * from t1, t2
where t1.coll = t2.coll;

select * from t1 join t2
on t1.coll = t2.coll;

🌵 cross join(상호조인) : 카티션 곱(CARTESIAN PRODUCT), 레코드 곱하기 레코드

한쪽 테이블의 모든 행과 다른 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조인시키는 기능이다. 상호 조인 결과의 전체 행 개수는 두 테이블의 각 행의 개수를 곱한 수만큼 된다.

select * from t1, t2;
select * from t1 cross join t2 cross join t3;

🌵self join(자체조인)

자체 조인은 자기 자신과 조인하므로 1개의 테이블을 사용한다. 별도의 문법이 있는 것은 아니고 1개로 조인하면 자체 조인이 된다.

SELECT <열 목록>
FROM <테이블> 별칭A
    INNER JOIN <테이블> 별칭B
[WHERE 검색 조건]


  • OUTER JOIN은 아래의 3가지로 나뉠 수 있다.

🌵 left outer join

왼쪽 테이블의 모든 값이 출력되는 조인

select * from t1 left outer join t2 on t1.coll = t2.coll;
select * from t1, t2 where t1.coll = t2.coll(+);

🌵 right outer join

오른쪽 테이블의 모든 값이 출력되는 조인

select * from t1 right outer join t2 on t1.coll = t2.coll;
select * from t1, t2 where t1.coll(+) = t2.coll;

🌵 full outer join

왼쪽 또는 오른쪽 테이블의 모든 값이 출력되는 조인

select * from t1 full outer join t2 on t1.coll = t2.coll;


참조
https://hongong.hanbit.co.kr/sql-%EA%B8%B0%EB%B3%B8-%EB%AC%B8%EB%B2%95-joininner-outer-cross-self-join/

profile
초보 개발자의 기술 블로그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4월 17일

깔끔하게 정리 해놓으셨네요 잘 보고있읍니다.^^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