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명령어 종류DDL(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 언어)\-> Create, Drop, Alter, Turncate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 언어)\-> Select, Insert, Upd
ROW, COLUMNM📌 ROW(로우) = 레코드 = 튜플📌 COLUMNM(컬럼) = 필드 = 속성(어트리뷰트) 위의 표 처럼 컬름은 세로(열), 로우는 가로(행)이다. NULL <span style="background-color: -> '0'과 공
예시로 쓸 테이블왼쪽부터 student, course, enrol 테이블SELECT문으로 데이터를 조회할 때 특정 조건을 기준으로 원하는 행을 출력하는데 사용ex) student 테이블에서 <span style="background-color: \`\`\`sqls
예시로 쓸 테이블 왼쪽부터 student, course, enrol 테이블 > ## 🌵 UPDATE SET  특정 칼럼의 값 바꾸기 📌 update 테이블명 set 조건 순서 유의해서 작성!! student 테이블의 sno가 600인 학생의 전공을

순서대로 t1, t2, t3 > inner join : 교집합 > cross join(상호조인) : 레코드 곱하기 레코드 > left outer join > right ou
데이터 모델링 추상화, 단순화, 명확성 📌 추상화 현실세계를 간단히 표현한다. 📌 단순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한다. 📌 명확화 명확하게 의마가 해석되어
속성의 종류 기본속성, 설계속성, 파생속성 📌 기본속성 비지니스 프로제스에서 도출되는 본래 속성 📌 설계속성 데이터 모델링 과정에서 발생되는 속성 유일한 값을

내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를 말한다.네트워크상의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설정을 정의하는 오라클 객체이다. 다른 DB에 특정 유저에 대한 링크를 만들어 해당 스키마에 테이블들을 접근하는 기술이다우선, 원격 서버의 tns

오라클 홈페이지에서 오라클을 다운 받는다.SQL Plus 창을 띄워보자. cmd에서 sqlplus를 입력해도 상관없다.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한다.비밀번호는 입력해도 안 보인다.관리자 권한으로 접속계정 생성id는 자신이 생각하는 id와 pw로 입력하면 된다.권한 부여

Tool 설치하기dbeaver 사이트에 접속해서 다운로드환경에 맞는 파일 다운로드다운로드 후 실행하면서 설치DBeaver 실행데이터베이스 - 새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클릭하면 새로운 db를 생성할 수 있다.오라클을 클락한 후 다음으로 넘어간다.Host값과 Database

VARCHAR2는 문자형 데이터이다.ORDER BY로 정렬할 때는 문자열 기준, 즉 아스키코드 순서로 정렬된다.아스키 정렬 순서숫자 (0–9) → 대문자 (A–Z) → 소문자 (a–z)특수문자는 이보다 앞쪽 또는 중간에 위치그래서 "varchar_10"이 "varcha
오라클(Oracle)에서 자주 사용하는 날짜 및 시간 관련 타입들인 CHAR, VARCHAR2, DATE, TIMESTAMP 간 변환 방법을 정리했다.아래 예제 테이블을 기준으로 각 타입 간의 변환을 테스트할 수 있다.이 컬럼은 'YYYY-MM-DD' 형식의 문자열이야

데이터베이스 쿼리 성능을 분석할 때 실행계획(Execution Plan) 을 확인하면, DB가 어떻게 데이터를 읽는지 파악할 수 있다.특히 인덱스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진다.키워드 : TABLE ACCESS FULL동작 : 테이블의 모든 행을 처음

SQL 쿼리는 작성하는 사람 입장에서 단순하지만, DBMS 입장에서는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수많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이때 어떤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지를 판단하는 핵심 컴포넌트가 쿼리 옵티마이저(Query Optimizer)이다.옵티마이저(Qu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