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코딩 - Linux 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리눅스에
permission을 통해 권한을 제한하는 것 : 파일과 디렉터리를 제한한다.
-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제한하는 것
 
이 파일은 leekyoungchang님이 소유하고 있다.
✔️ echo
echo 문자 : 문자를 화면에 표준출력한다.
echo 'hi' > perm.txt : perm.txt생성 후, hi 입력된다.
-rw-r--r--  1 leekyoungchang  staff  0  3  8 10:23 perm.txt
- : type (파일인지, 디렉터리인지)
rw-r--r-- : access mode
rw- : owenr에 권한 (사용자 권한)r-- : group에 권한r-- : 소유자, 그룹이 아닌 기타 사용자r : read, w : write, x : excuteleekyoungchang : owner
staff : group
 
chmod : change mode (access mode를 변경)
| User | Group | Other | 
|---|---|---|
| u ex) chmod u+r | g ex) chmod g+r | o ex_ chmod o+r | 
 
execute : 실행 권한
✔️ 실행 권한 예시
nano example.sh : example 실행파일 생성 (실행 파일: sh)
./example.sh : 생성한 실행파일 실행
다만, 접근 제한을 받는다.
이럴 때 실행 권한을 줘야 한다.
chmod u+x example.sh;
./example.sh 실행 결과

example.sh 안에
#!/bin/bash가 있다면, 실행파일의(example.sh) 실행가능 여부를(execute) 보고 가능하다면 /bin/bash를 구동시키면서 실행파일을(example.sh) 실행한다.
 
실행할 때마다, alias로 경로 별명 등록하기 ➡️ 참고 자료
mkdir perm;cd perm;echo 'hi' > perm.txt
perm 디렉터리 생성 후, 디렉터리안에 perm.txt 생성 후, 안에 hi 추가
chmod o+r perm : 기타 사용자 perm 디렉터리 읽기 가능 chmod w-r perm : 기타 사용자 perm 디렉터리에서 쓰기, 수정 불가능chmod -R o+w perm : 현재 경로 디렉터리안에 perm이라는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있다면, perm에서 기타 사용자들은 쓰기가 가능하다. 
permission
chmod 110 perm.txt : --x --x ---
chmod a+r perm.txt : r-- r-- r-x (기존 값에 모든 사용자 r 추가)
chmod a=r perm.txt : r-- r-- r-- (모든 사용자 r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