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코딩 - Linux 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다중 사용자 시스템 :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
다중 사용자 시스템으로 운영할 때 단점
여러 문제점들을 알고 있어야 한다.
id identity : (누군지 식별하다.)
who : 현재 누가 접속했는지 알려준다.
linux에서 사용자
super user : 시스템에 가장 높은 강력자(권력자)user : 일반 컴퓨터 사용자
🔔 super user vs user
(1) sudo
superuser의 명령어를 사용할 때 sudo를 사용한다.
(2) superuser가 되는 방법
su username : a의 사용자에서 b라는 사용자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
su : 기존 user 로 이동한다.
su - root : root 사용자로 이동한다.
➡️ 안될시, sudo -s로 root로 이동해서 passwd root로 root 패스워드를 새로 만들어준다.
(아니면 : sudo passwd -u root로 password를 변경한다.)
(다시 잠글때는 : sudo passwd -l root)
exit : root에서 빠져나올 때 사용한다.
(3) leekyoungchang
(4) $과 #
$ : 일반 사용자
# : superuser
cd / : 최상위 디렉터리(root 디렉터리)
cd /root : 최상위 디렉터리/최상위 디렉터리
사용자 추가
리눅스에서는 useradd가 되지만 유닉스에서는 useradd 명령어가 없고 dscl을 사용해야 한다.
useradd -m 사용자이름 : 새로운 사용자 홈 디렉터리를 추가한다.
sudo dscl . -create
다만, useradd, usermod가 mac (unix)에서 실행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