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te vs Texture

Jaemyeong Lee·2024년 12월 7일
0

입문자를 위한 UE5

목록 보기
44/60

Sprite: 게임 등지에서 사용되는 움직이는 2차원 비트맵 개체를 가리키는 용어

해석

  • Sprite는 게임에서 사용하는 2D 비트맵 이미지를 의미한다.
  • 주로 캐릭터, 오브젝트, 아이템 등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2D 개체를 나타낸다.

마치 도깨비불이 둥둥 떠다니듯 배경화면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었기 때문에 sprite를 어원으로 삼은 것 같다 (출처: 나무위키)

해석

  • Sprite라는 용어의 어원은 도깨비불이나 유령처럼 독립적으로 떠다니는 이미지에서 유래되었다.
  • Sprite는 배경과 분리된 독립적인 개체로 움직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Texture: 물체에 옷을 입힌다

해석

  • Texture는 3D 오브젝트의 표면에 입히는 이미지 파일을 의미한다.
  • Texture는 단독으로 배치되지 않고, 특정 물체의 표면 외관(옷)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 예: 3D 캐릭터의 피부나 건물 표면의 벽돌 무늬.

스프라이트를 월드에 드래그 드롭해서 생성하게 되면 스프라이트를 만드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Outliner에는 PaperSpriteActor라 해서 액터는 액터인데 스프라이트를 출력하는 용도의 액터가 자동적으로 만들어져 있음

해석

  • 스프라이트 생성 과정:
    1. Sprite 이미지를 월드에 드래그 앤 드롭하면, 해당 Sprite가 월드에 배치된 것처럼 보인다.
    2. 그러나 Outliner에는 PaperSpriteActor라는 객체가 생성된다.
    • PaperSpriteActor:
      • Actor 클래스의 상속 객체.
      • Sprite를 출력하기 위한 전용 Actor로, 스프라이트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Object → Actor → PaperSpriteActor

해석

  • 언리얼 엔진에서 PaperSpriteActor는 다음 계층 구조를 따른다:
    1. Object: 언리얼 엔진의 모든 클래스의 기본 클래스.
    2. Actor: 월드에 배치 가능한 모든 객체의 기본 클래스.
    3. PaperSpriteActor: Actor를 상속받아 2D Sprite를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한 클래스.
  • PaperSpriteActor는 Sprite가 월드 내에서 Actor로 동작하도록 한다.

텍스처는 막 배치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어떤 물체에 옷을 입히는 느낌으로 사용하는 것

해석

  • Texture는 월드에 직접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물체의 표면에 적용해야 한다.
  • 예: 3D 모델의 표면 외관을 결정하는 데 사용.
    • 벽, 캐릭터 피부, 나무 등의 외형을 정의.

스프라이트는 2D 이미지처럼 독단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 게 스프라이트 개념

해석

  • Sprite는 Texture와 달리, 독립적으로 월드에 배치할 수 있다.
  • 스프라이트는 2D 이미지 자체로 동작하며, 배경과 분리된 개체로 기능한다.

Sprite vs Texture: 주요 차이점 정리

항목SpriteTexture
정의움직이는 2D 비트맵 개체3D 오브젝트의 표면에 적용되는 이미지
역할독립적으로 배치 가능물체의 외형을 결정
사용 방식PaperSpriteActor로 월드에 직접 배치특정 오브젝트의 표면에 입혀 사용
계층 구조Object → Actor → PaperSpriteActor단순 데이터로, Material을 통해 사용
적용 예2D 게임의 캐릭터, 아이템, 배경3D 캐릭터의 피부, 건물 표면 무늬

결과

profile
李家네_공부방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