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O(logn)·2023년 12월 10일
0

자료구조

목록 보기
10/10

목차

  • 그래프
  • 그래프 순회
    • DFS
    • BFS
  • 백트래킹
  • 그래프 순회 문제

그래프

  • 그래프(graph, G)
    • 그래프는 노드들과 노드들을 연결하는 엣지들의 집합이다.
    • G = {V, E}


[출처: 황용득 교수님]

  • 노드(node, vertex, 정점)
    : 객체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
    • V: 노드의 집합
  • 엣지(edge, Link, 간선)
    : 노드들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
    • E: 엣지의 집합
    • 방향을 가질 수 있음
    • 가중치(= 거리, 비용)를 가질 수 있음

그래프 이론

  • 그래프 이론이 사용되는 곳: 노드와 엣지의 집합!
    • 인터넷 네트워크
    • 지하철 노선도
    • 화학 분자
    • 뇌(뉴런 간 연결)
    • 온톨로지

그래프 용어

  • 방향 그래프(directed graph)
    : 엣지에 방향이 있는 그래프
    • <A,B>: 노드 A에서 노드 B로 가는 간선
  • 무방향 그래프(undirected graph)
    : 엣지에 방향이 없는 그래프
    • 양 방향 모두 이동 가능
    • (A,B): 노드 A와 노드 B를 연결하는 간선. A→B, B→A 모두 가능


[출처: 황용득 교수님]

*인접노드: 어떤 노드 v가 있을 때, v의 인접노드는 v에서 바로 갈 수 있는 노드들의 집합

  • 차수(degree)
    • 무방향 그래프에서 차수는 노드에 연결된 엣지의 수
    • 방향 그래프에서는 진입차수진출차수로 구분
      1) 진입차수(in-degree): 노드로 들어오는 엣지의 수
      2) 진출차수(out-degree): 노드에서 밖으로 나가는 엣지의 수

[출처: 황용득 교수님]

  • 경로(path)
    : 시작 노드부터 도착 노드까지 모든 노드들을 나열한 것(중복 포함)

    • 예) 노드 a에서 출발하여 노드 e에 도착하는 다양한 경로들
      - [a,b,e]
      - [a,b,a,b,e]
      - [a,c,b,e]
      - [a,c,d,e]
      - ...
  • 단순 경로(simple_path)
    : 중복 제외 시작 노드부터 도착 노드까지 모든 노드들을 나열한 것

    • 예) 노드 a에서 출발하여 노드 e에 도착하는 다양한 경로들
      • [a,b,e]
      • [a,c,b,e]
      • [a,c,d,e]
      • ...
  • 사이클(cycle)
    : 시작노드와 도착노드가 같고(순환), 도착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들은 중복이 없는 경로(단순 경로)

  • ⭐🌲트리(tree)🎄

    • 사이클 없이 모든 노드들이 연결되어있는 그래프
      (트리 ⊂ 그래프)


      출처: 나무위키

그래프를 표현하는 방법(1)

  •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
    • 행렬 형태 그래프를 표현
      • 노드 i에서 노드 j로 가는 엣지가 없는 경우
      • graph[i][j] = 0
      • 가중치가 있는 엣지라면 1대신 가중치 저장
    • 예시)
      • 노드 1에서 노드 3으로 가는 엣지가 있다면 graph[1][3]은 1이다.

[출처: 황용득 교수님]

그래프를 표현하는 방법(2)

  • 인접 리스트(adjacency list)
  • 각 노드마다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리스트로 저장
    → 파이썬에서 인접 리스트를 딕셔너리리스트로 구현
  • 예시)
    • 노드 0에서 갈 수 있는 노드는 노드 1노드 2이다.
      - graph[0] = [1,2]
    • 노드 1에서 갈 수 있는 노드는 노드 2노드 3이다.
      • graph[1] = [2,3]
    • 노드 3에서 갈 수 있는 노드는 없다.
      • graph[3] = []

그래프 탐색(순회)

  • 그래프 탐색(순회)

    • 그래프에 있는 모든 노드들을 방문 탐색하는 것
  • 그래프 탐색의 2가지 방법

    • 깊이우선탐색(DFS, depth first search)
      • 재귀함수스택을 사용하여 구현
    • 너비우선탐색(BFS, breadth first search)
      • 를 이용하여 구현
  • 장점

    • DFS의 장점
      • 빠르고 쉽게 구현 가능
    • BFS의 장점
      • 최단거리, 최소값 등 최적화된 경로를 찾는데 유리

깊이우선탐색

깊이우선탐색 알고리즘
만일 노드 v(시작노드)를 방문하지 않았다면:
1) 노드 v를 방문
2) 노드 v에 인접한 모든 노드 w에 대해서, w를 깊이우선탐색 (재귀적 정의)

  • 예시) 노드 1부터 시작
    1) 1→2→5→6 방문 (인접노드 DFS 우선)
    1-1) 6→5→7 (더 갈데가 없으면 자신을 호출한 이전 노드로 이동)
    2) 7→3 방문
    2-1) 7→5→2→1→4
    3) 4 방문

⭐⭐깊이우선탐색 구현⭐⭐

  • graph_DFS
    • 그래프에서 노드들을 DFS 방법으로 방문한 결과를 리스트 형태로 리턴
  • 변수들
    • graph: 그래프
    • start: 시작노드
    • visited: 딕셔너리, k노드를 방문했다면 visited[k] = True
    • order: 방문한 순서대로 노드들을 저장
from typing import List, Dict, Any
def graph_DFS(graph: Dict[Any, List])-> List: # 깊이우선탐색
    order = [] # 방문한 순서대로 노드 저장
    visited = {k: False for k in graph} # 노드의 방문여부 저장
  """
  k: 노드의 키
  False: 방문 여부 초기화(모두 미방문)
  """
    def dfs(start: Any)-> None: # 시작 노드와 연결된 모든 노드 방문
        if not visited[start]: # 시작 노드가 미방문이라면
            visited[start] = True # 방문으로 변경하고
            order.append(start) # order 리스트에 추가하여 방문 순서 기록
            for w in graph[start]:
                # w: start에 인접한 노드
                dfs(w) # 모든 노드를 다 방문

    for i in graph: # 그래프의 처음 노드부터 순회
        if not visited[i]: # 미방문 상태라면
            dfs(i) # dfs함수로 방문 시작
    return order # 방문한 순서 목록을 return

graph = {
    1: [2,3,4],
    2: [5],
    3: [5],
    4: [],
    5: [6,7],
    6: [],
    7: [3],
}
print(graph_DFS(graph))

깊이우선탐색: 전위 순회

  • 전위 순회: root를 먼저 방문
  • 중위 순회: 왼쪽 자식 - root - 오른쪽 자식
  • 후위 순회: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 - root
  • 레벨 순회: 글을 읽는 순서로

너비우선탐색(BFS)

  • 임의의 노드(보통 루트 노드)에서 시작해 인접한 노드를 먼저 탐색하는 방법
  • 깊게(deep) 탐색하기 전에 넓게(wide) 탐색
  • 두 노드 사이의 최단 경로 혹은 임의의 경로를 찾고 싶을 때 적합
    • DFS와 유사하지만 목적이 다름
  • 너비우선탐색 알고리즘은 큐를 사용
  • 너비우선탐색에서 노드를 방문하는 여러가지 방법들
  1. 노드를 방문하고 큐에 삽입(밥 먹고 줄 서기)
  2. ⭐큐에서 나온 노드를 방문
  3. 큐에 삽입되었다는 기록을 하고, 큐에서 나온 노드를 방문

너비우선탐색 알고리즘

  • 큐에 삽입되는 순서대로 방문
  1. 시작노드를 큐에 삽입
  2. 큐가 비어있지 않다면
    1. 디큐하여 노드 v를 꺼낸다.
    2. v를 방문하지 않았다면,
      1. v를 방문
      2. v에 인접한 모든 노드 w를 큐에 삽입
  • 예시) 노드 1부터 시작
    • 1→2→3→4→5→6→7 방문
      • 1
      • 2→3→4: 시작노드에서 한 칸
      • 5: 시작노드에서 두 칸
      • 6→7: 시작노드에서 세 칸

너비우선탐색 구현

  • graph_BFS
    • 모든 노드를 방문하는 것이 목적(단, 시작 노드에서 갈 수 있는 노드들만)
    • 그래프에서 노드들을 BFS방법으로 방문한 결과를 리스트 형태로 리턴
  • 변수들
    • graph: 그래프
    • start: 시작노드
    • visited: 딕셔너리, k 노드를 방문했다면 visited[k] = True
    • order: 방문한 순서대로 노드들을 저장
from typing import List, Dict, Any
def graph_DFS(graph: Dict[Any, List])-> List:
    order = [] # 방문한 순서대로 노드 저장
    visited = {k: False for k in graph} # 노드의 방문여부 저장

    def dfs(start: Any)-> None: 
        if not visited[start]:
            visited[start] = True # 방문
            order.append(start) # 방문 순서 기록
            for w in graph[start]:
                # w: start에 인접한 노드
                dfs(w)

    for i in graph:
        if not visited[i]:
            dfs(i)
    return order

graph = {
    1: [2,3,4],
    2: [5],
    3: [5],
    4: [],
    5: [6,7],
    6: [],
    7: [3],
}
print(graph_DFS(graph))

백트래킹 알고리즘

  • 그래프나 트리를 탐색할 때, 경우의 수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 특정 노드가 유망하다면 → 노드 탐색
  • 특정 노드가 유망하지 않다면 → 이전 노드(부모 노드)로 돌아감

# 백트래킹 알고리즘 빈 깡통 코드 1(우리 pick)
def checknode(v): # 백트래킹
    if promising(v): # 유망한지
        if is_solution(v): # 정답이라면
            print("Solution:", v) # 정답 출력
        else: # 오답이라면
            for w in children(v): # w가 v의 자식이라면
                checknode(w) # 재귀 백트래킹

def promising(v):
    # Example logic: check if node 'v' does not violate constraints
    # This is problem-specific and needs to be adapted
    return True  # Replace with actual logic

def is_solution(v):
    # Example logic: check if node 'v' meets the goal criteria
    # This is problem-specific and needs to be adapted
    return False  # Replace with actual logic

def children(v):
    # Example logic: generate the next set of nodes from 'v'
    # This is problem-specific and needs to be adapted
    return []  # Replace with actual logic
# 백트래킹 알고리즘 빈 깡통 코드 2(가끔 쓰임)
def checknode(v): # 백트래킹 코드, v가 유망하다고 가정
    if is_solution(v): # v가 답이라면
        print(v) # v 출력
    else: # v가 답이 아니라면
        for w in children(v): # w가 v의 자식이라면
            if promising(w): # w가 유망하다면
                checknode(w) # 백트래킹 재귀호출

실전 문제(섬의 개수)

  • Q. 1을 육지로, 0을 물로 가정한 2D 그리드 맵이 주어졌을 때, 섬의 개수를 계산하여라


[출처: 황용득 교수님]

  • 그리드 맵을 표현하는 방법
    • 2차원 리스트 이용
    • 각 노드들이 동서남북으로 연결된그래프라고 가정한다.


[출처: 황용득 교수님]

  • 인접행렬이 아니고 Grid Map이다.(직사각형이고 대각선이 0이 아님)

실전 문제(미로 찾기)

섬의 개수 구하는 방법
1. 시작 노드와 연결된 모든 노드(동서남북)들에 탐색 가능한 경우 깊이우선탐색을 한다. 단, 한 번 방문한 노드는 다시 방문하지 않는다.

  • 탐색을 했다면 섬의 개수를 1 증가시킨다.
  • 현재 노드가 탐색 가능한 경우인지 확인
    • 현재 노드가 탐색 가능하다면 promising(유망한)하다 한다.
    • promising 여부 확인 방법
      • 노드가 grid 맵 안에 존재해야함
      • 노드가 방문된 적이 없어야 함
      • 노드가 육지여야함


[출처: 황용득 교수님]

섬의 개수 문제 풀이 1

  • is_promising(row, col)
    • rowcolgrid 범위 안에 있고, grid[row][col]을 방문한 적이 없고, 육지인 경우 True 리턴
      • row: 행 인덱스
      • col: 열 인덱스
  • dfs(row, col): (row, col)위치에서 연결된 모든 육지를 방문한다.
from typing import List, Dict, Any

def counting_islands(grid: List[List[int]])-> int:
    n_rows = len(grid) # 줄 개수
    n_cols = len(grid[0]) # 컬럼 수
    visited = [[False] * n_cols for _ in range(n_rows)]

    def is_promising(row: int, col: int)-> bool:
        """grid[row][col]이 유망한지 확인"""
        if 0 <= row < n_rows and 0 <= col < n_cols and \
            grid[row][col] == 1 and not visited[row][col]: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def dfs(row: int, col: int)-> None:
        """grid[row][col]을 깊이우선탐색"""
        if is_promising(row, col):
            visited[row][col] = True # 방문했음
            dfs(row, col + 1) # 동
            dfs(row, col - 1) # 서
            dfs(row + 1, col) # 남
            dfs(row - 1, col) # 북

    count = 0 # 섬의 수
    # 모든 노드를 깊이우선탐색
    for i in range(n_rows):
        for j in range(n_cols):
            if is_promising(i,j):
                dfs(i, j)
                count += 1
    return count

섬의 개수 문제 해결 방법 2: 너비우선탐색

from typing import List, Dict, Any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counting_islands_bfs(grid: List[List[int]])->int:
    n_rows = len(grid)
    n_cols = len(gird[0])
    visited = [[False]*n_cols for _ in range(n_Rows)]

    def is_promising(row: int, col: int)-> bool:
        """grid[row][col]이 유망한지 확인"""
        if 0 <= row < n_rows and 0 <= col <n_cols and \
            grid[row][col] == 1 and not visited[row][col]: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def bfs(row: int, col: int)-> None:
        """grid[row][col]을 너비우선탐색"""
        queue = deque()
        queue.append((row, col))

        while queue:
            i, j = queue.popleft()
            if is_promising(i, j):
                visited[i][j] = True
                queue.append((i, j+1)) # 동
                queue.append((i, j-1)) # 서
                queue.append((i+1, j)) # 남
                queue.append((i-1, j)) # 북

    count = 0
    # 모든 노드를 너비우선탐색
    for i in range(n_rows):
        for j in range(n_cols):
            if is_promising(i, j):
                bfs(i, j)
                count += 1
  
    return count

실전 문제(미로 찾기)

  • Q. 1은 지나갈 수 있고 0을 벽으로 가정한 2D 그리드 맵이 주어졌을 떄, 좌측상단에서 출발하여 우측하단으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의 수를 구하시오.

미로 찾기 문제 해결 방법

from typing import List, Tuple, Dict, Any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miro(grid: List[List])-> int:
    n_rows = len(grid)
    n_cols = len(grid[0])
    visited = [[0] * n_cols for _ in range(n_rows)] # 지나간 칸 수를 저장

    start_pos = (0, 0) # 시작 위치
    target_pos = (n_rows - 1, n_cols - 1) # 목표 위치
    visited[0][0] = 1 # 시작 위치는 이미 지났다. 
    dxdy = [(0,1), (0,-1), (1, 0), (-1, 0)] # 동서남북 방향
    queue = deque()

    def is_promising(row: int, col: int)-> bool:
        """grid[row][col]이 유망한 지 확인"""
        if 0 <= row < n_rows and 0 <= col < n_col and \
            grid[row][col] == 1 and visited[row][col] == 0: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queue.append(start_pos)
    while queue:
        x, y = queue.popleft()
        if (x, y) == target_pos: # 목표 도착
            return visited[x][y]
        for dx, dy in dxdy:
            (nx, ny) = (x+dx, y+dy)
            if is_promising(nx, ny):
                visited[nx][ny] = visited[x][y] + 1 # 현재값 + 1 = 다음 위치에ㅣㅆ는 노드의 수
                queue.append((nx, ny))
    return -1 # 목표까지 가지 함

실전 문제(최대 섬의 크기 출력)

from typing import Any

def max_island_size(grid: list[list[int]]) -> int:
    n_rows = len(grid)
    n_cols = len(grid[0])
    visited = [[False]*n_cols for _ in range(n_rows)] 
    
    def is_promising(row: int, col: int)-> bool:
        """grid[row][col]이 유망한 지 확인"""
        if 0 <= row < n_rows and 0 <= col < n_cols and \
            grid[row][col] == 1 and visited[row][col] == 0: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def dfs(row: int, col: int)-> None:
        """grid[row][col]을 깊이우선탐색"""
        if is_promising(row, col):
            visited[row][col] = True # 방문했음
            dfs(row, col + 1) # 동
            dfs(row, col - 1) # 서
            dfs(row + 1, col) # 남
            dfs(row - 1, col) # 북
            
    sizes = []
    isl_size = 0
    # 모든 노드를 깊이우선탐색
    for i in range(n_rows):
        for j in range(n_cols):
            if is_promising(i,j):
                isl_size += 1
                
                sizes.append(isl_size)
                dfs(i, j)
    return max(sizes)

# 아래는 수정하지 마시오.
grid = [
    [1,1,0,0,0],
    [1,1,0,0,0],
    [0,0,1,0,0],
    [0,0,0,1,1],
]
print(max_island_size(grid))

grid = [
    [1,1,0,0,1],
    [1,1,0,0,0],
    [0,0,1,1,1],
    [0,0,0,1,1],
]
print(max_island_size(grid))
profile
聞一知十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