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다.도커의 핵심은 경량화된 가상화 컨테이너이다.Docker를 활용하면 OS 및 개발, 테스트, 실행 환경을 모두 포함하여 하나의 컨테이너 형태로 배포가 가능하다.기존의 가상 머신은 호스트 OS 위에 게스트 OS 전체
ps 명령어는 실행 중인 컨테이너 목록을 보여준다.\-a : 종료된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모든 컨테이너를 출력합니다.실행 중인 모든 컨테이너 중지: docker stop $(docker ps -a -q)중지된 컨테이너를 하나하나 삭제하는 건 귀찮기 때문에 docker r
mongoDB는 Document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BSON의 형태로 저장하고, 보통 읽기 쉬운 JSON의 형태로 출력된다.JSON은 무엇이고 BSON이 무엇인지 차이를 알아보자.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자바스크립트 이벤트 중 클릭한 요소를 가져올 때, event 객체의 target 또는 currentTarget 프로퍼티를 사용한다.이 때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어떤 경우에 무엇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보자.event.target은 이벤트 버블링의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Express를 사용해서 작업할 때 요청 및 응답 객체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응답을 요청한 쪽에 다시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Express에서는res.json(), res.send(), res.end()와 같은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어떤 걸 써야하는 지 가끔 헷
문제의 코드...map(()=>{ }) 메서드를 중괄호와 같이 사용할때는 { } 중괄호 안에 return이 존재해야 한다.작성한 코드를 확인해 보면, .map() 메서드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return을 사용하지 않았다..map() 메서드를 사용할때 요소를 ( )소
힙(Heap)에는 최대힙(Max heap), 최소힙(Min heap) 두 종류가 있다.최대 힙: 부모 노드는 항상 자식 노드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최소 힙: 부모 노드는 항상 자식 노드보다 값이 작아야 한다.즉, 최대 힙의 루트는 힙 내에서 가장 큰 값, 최소 힙의
힙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형태 중 하나로 이진 트리 형태의 힙.이진 트리는 각 노드의 자식 노드가 반드시 2개 이하인 트리이다.이진 힙은 완전 이진 트리라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모든 레벨의 노드가 채워져 있어야 하며, 마지막 레벨은 왼쪽부터 채워져 있어야 한다.새
우선순위 큐를 위해 만들어진 자료구조, heap일반적인 큐(Queue)는 먼저 들어오는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FIFO(First In First Out) 형식의 자료구조이다.즉, 어떤 부가적인 조건 없이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구조이다.우선순위 큐(Prior
트리를 순회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은 전위 순회, 중위 순회, 후위 순회입니다. 이 순회 방식과는 논외로, 트리 구조에서 노드를 순차적으로 조회할 때의 순서는 항상 왼쪽부터 오른쪽입니다.
노드로 구성된 계층적 자료구조.노드(node)들과 노드들을 연결하는 간선(edge)들로 구성되어 있다.트리는 1개 이상의 노드로 구성되며, 하나의 루트 노드를 갖는다.최상위 노드인 루트는 0개 이상의 자식 노드를 갖는다.그 자식 노드의 자식 노드가 존재하는 구조가 반복
루트 노드(혹은 다른 임의의 노드)에서 시작해서 다음 분기(branch)로 넘어가기 전에 해당 분기를 완벽하게 탐색하고 넘어가는 방법.넓게(wide) 탐색하기 전에 깊게(deep) 탐색한다.모든 노드를 방문 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 방법을 사용한다.DFS가 BFS보다 좀
그래프 탐색이란?하나의 정점에서 시작해서 그래프의 모든 정점들을 한번씩 탐색하는 것을 말한다.그래프 전체를 탐색하는 방법 중 하나.루트 노드 (혹은 다른 임의의 노드)에서 시작해서 인접한 노드를 먼저 탐색하는 방법.시작 정점으로부터 가까운 정점을 먼저 방문하고 멀리 떨
A와 B의 공통된 약수 중에 가장 큰 정수를 최대 공약수라고 한다.2개의 자연수 a, b(a > b)에 대해서 a를 b로 나눈 나머지가 r일 때,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와 r의 최대공약수와 같다.유클리드 호제법의 기본 원리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R라고 했을 때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완전탐색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이 있다.완전탐색은 단어 그대로, 생길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서 조건이 성립하는 지를 알아보는 것 자체를 말한다.순열과 조합을 사용해서, 완전탐색을 할 대상에 대해 자료형을 구축해보자.조합은 서로 다른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AWS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상의 컴퓨터를 한 대 빌리는 것이라고 생각하자.EC2를 통해서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것은 웹 서버를 설치하고 서버를 통해서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Wh
클라우드 등장 이전의 방식은 흔히 말하는 서버실과 같은 곳에 컴퓨터를 배치하고 인터넷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했다.그런데 만약 서버가 요청에 대한 수용 능력이 한계에 도달한다면 어떻게 대처할까(컴퓨팅 능력이 더 필요하다면)?같은 공간에 더 많은 컴퓨터를 제공하여 한 대
$ git init$ add .$ add index.js$ git commit -m "커밋 메세지"커밋 메세지는 항상 해당 이력에 대한 정보를 담을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 좋다.일관적으로 메세지를 작성하는 습관 중요 !$ git statusgit의 상태를 확인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