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등등
1️⃣ Client -> Server의 IP:PORT로 Connection 요청 (
Syn
)
2️⃣ Client <- Server Connection 요청 수락 (Syn + Ack
)
** 👉🏻 Connection 수립 완료 (위 과정에서 걸리는 시간을Connection Time
이라고 함) **
3️⃣ Client -> Server 요청
4️⃣ Client <- Server 응답
Client와 Server간 Connection을 맺는 과정
에서 발생하는 Timeout을 말한다
👉🏻 즉, 맛집에 들어갈려고 30분을 대기를 했는데 들어가지 못함 !!!
Client와 Sever가 connection을 맺은 이후
에 실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은 실제로는 N번의 패킷 전송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각 패킷이 사이의 간격 시간이 일정 시간을 경과하면 발생하는 Timeout
전체 연결이 타임아웃이 발생한 것이 아니고
👉🏻 개별 패킷이 타임아웃이 발생
Client와 Sever가 connection 성공
했지만,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I/O 과정이 길어지는 경우 발생하는 Timeout
맛집에 들어감(connection)
주문을 하고 10분을 기다렸으나 음식이 나오지 않음
그래서 가게를 나옴
👉🏻 요청에 대한 응답이 없어서 발생
https://romainefabula.tistory.com/87
https://icthuman.tistory.com/entry/Spring-WebClient-%EC%82%AC%EC%9A%A9-3-Configuration-Timeout
https://www.baeldung.com/spring-webflux-time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