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는 어떤 정보에 이름을 붙혀서 저장하고 싶을때 사용한다. name = "Cherry"; age = "23";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는 항상 따옴표로 감싸져있어야 한다. 만약 변수명(name)이 유일하다는 보장이 없기때문에 마지막으로 선언된 변수명(name
✍️입력 const name = "Cherry"; //문자형 const age = "23"; const name1 =""
alert()함수가 실행되면 메세지를 포함한 알림창을 띄운다.prompt()값을 입력받을 수 있는 창을 띄울수 있다. ✍️ 작성💻 출력 다음과 같이 이름을 입력하는 창이 뜨고, 이름을 입력하면작성한 내용대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prompt의 또 다른 예
"Hi" + "Cherry" = "Hi Cherry"문자형과 문자형을 더 하면 문자형, 20 + 3 = 23숫자형과 숫자형을 더하면 숫자형이 된다. 만약 자료형이 다르면 의도치않은 결과값이 나올 수도 있다. 아래의 예시로 함께 알아보자. ✍️작성💻출력수학점수와 영어점
✔️연산자 줄여쓰기 ✍️작성 let num = 10; num = num + 5; console.log(num) let num1 = 10; num1 +=5; console.log(num1) 💻출력 15 15 위
a=3 은 a에 3이라는 값을 넣어주는것이고, a==3 은 a와 3이 같은것인가, a!=3은 a와 3이 다른것인가 하는것이다. 이와 같은 연산자는 Boolean형으로 출력된다.✍️작성💻출력==을 동등연산자라고 표현한다.조금 다르게 동작할때가 있다. 함께 알아보자.✍
|| (OR)여러개중 하나라도 true라면 true !모든값이 false 일때만 false를 반환한다.OR는 첫번째 true를 발견하는 즉시 평가를 멈춘다.a || b👉 a나 b중 true가 있으면 true&& (AND)모든값이 true 여야 true ! 하나라도 f
for (let i=0; i < 10; i++){}세미클론으로 구분하며 let =0 , i<10 , i++ 이렇게 3가지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초기값을 설정한다. 반복문에 진입할때 처음 한번만 작성한다.i라는 변수에 0의 값을 설정해줬다.조건을 설정한다.
✔️ switch문 switch문은 충분히 if else문으로도 작성가능하다. 하지만 케이스가 다양할때 보다 간결하게 작성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알고 있으면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다. >switch(평가){ case A : (A일때 실행되는 코드)
중복되는 코드들을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함수를 이용한다. >function sayHello(name){ console.log('Hello,${name}')}; sayHello는 함수이름이 되는 것이고, name은 매개변수가 된다. 매개변수는 없을 수도 있고, 1
✍️작성✍️작성위와 같은 함수식을 화살표 함수를 이용하여 바꾸면, ✍️작성function이 없어지고 괄호뒤에 =>화살표가 생겼다. 또 이 예제는return문이 있기때문에 아래와 같이 또 바뀔 수 있다. ✍️작성✍️작성 ✍️작성 let sayHello= (name)=
javascript를 이용하다보면 다양한 오류들을 확인 할 수 있다. 오타로 인한 오류일 경우에는 바로 확인해서 수정이 가능하지만 가끔은 어떤오류인지 도통 몰라서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자주 확인 할 수 있는 오류 메세지를 통해서 오류원인을 추측해보자. ✔️
✔️ 객체 ✍️작성 cosnt superman = { name 'clark', age = 23, } > 객체는 중괄호 내에 key와 value로 구성된 프로포트가 들어간다. 각 프로포트는 , 로 구분된다. 객체에 접근하고, 추가하고,
✔️ HTML 🪄 Input에 required 요소를 추가하여 필수입력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maxlength="15"로 작성하여 Input에 입력수 제한을 둘 수 있다.✔️CSS ✔️SCRIPT 기본 동작이 실행되지 않게하는 함수이다. 값이 sub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