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 지인의 추천을 받고 GA4 이벤트 정의서 작성 방법 강의를 보았다.
아래 기본 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도록 한다.
✅ 이벤트 정의서란? 우리 서비스 내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이벤트와 속성을 정리한 목록
- 이벤트 기반 행동분석툴(GA4/Amplitude)에 필수예요 🕵️
- 우리 서비스 내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점검해요 👀
- 필요한 데이터의 세부 항목을 한눈에 볼 수 있어요 👁
- 개발자와 소통하기 수월해져요 🧑💻
20년 전통 언론사 A(종이 신문 보유): 구독 / 콘텐츠보기
신생 언론사 B(비디오 only): 유료구독 / 무료구독 / 동영상보기 / 저장
프리미엄 브랜드 A : 구매 / 프리오더 / 상담신청 / 카탈로그 신청
리퍼 제품을 판매하는 B : 구매 / 장바구니담기 / 입고알림신청
주요이벤트 : 공동구매 신청 / 공동구매 승인 / 공동구매 개설
모든 비즈니스에는 고유한 이벤트가 존재한다!
고로 각 비즈니스에 맞는 이벤트 정의서를 맞춤 제작해야 한다!
STEP 1. 비즈니스 구조 시각화하기 (e.g 사이트맵)
STEP 2. 고객 행동 시나리오 작성하기
STEP 3. 서비스 화면을 기준으로 필요한 데이터 추출하기
STEP 4. 데이터 리스트 형태로 정리하기
STEP 5. 우선순위 설정과 중복 이벤트 제외하기
가장 먼저 우리 비즈니스의 생김새 살펴보기 👀
우리 비즈니스가 제공하는 서비스(웹 또는 앱)의 기능을 나열하고 정리해봅시다.(웹 서비스의 경우 사이트맵을 떠올려봐요!)
사이트맵을 토대로 방문한 고객의 예상 행동 흐름을 정리해봅시다.
발생 가능한 고객 행동을 여러가지 시나리오로 작성해봐요
오픈소스마케팅 웹사이트의 고객행동 시나리오 리스트
시나리오A: 홈페이지 방문 - 컨설팅 문의
시나리오B: 홈페이지 방문 - 서비스 소개서 다운로드 - 컨설팅 문의
시나리오C: 홈페이지 방문 - 블로그 글보기 - 뉴스레터 구독 - 컨설팅 문의
시나리오D: 홈페이지 방문 - 서비스소개서 다운로드 - 블로그 글보기 - 뉴스레터 구독 - 컨설팅 문의
시나리오 작성 후 서비스 화면 기준으로 필요한 이벤트/매개변수 데이터를 찾아 정리합니다
✅ 여기서 매개변수란 이벤트 발생 당시 수집할 정보를 의미해요 GA4 무료 버전에서는 이벤트당 최대 25개까지! 등록할수있답니다.
빠트리는 데이터가 없도록 서비스 화면에서 직접 기능을 실행하며 정리해요!
서비스 화면 기준으로 이벤트/매개변수 파악이 끝나면 각 데이터를 리스트로 정리하여 이벤트 정의서 초안을 만듭니다.
✅ GA4를 사용할 때에는 구글에서 지정한 추천 이벤트 목록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특히 전자상거래 서비스는 해당 항목 사용을 권장합니다.
이벤트 정의서 초안 작성 - 전체 이벤트 나열
마지막으로 중복 이벤트를 제외/병합 후 우선순위를 정리하면 이벤트 정의서 완성!
하나의 태그로 구분할 수 있는 이벤트[🟡] / 중복된 이벤트[🟢🔵]
중복 이벤트 및 우선순위를 정리
GA4의 추천 이벤트 (게임)
GA의 추천 이벤트 (커머스)
GA의 추천 이벤트 (모든 속성_토큰사용 포함)
설정 후 DebugView 도구를 사용하여 추천 이벤트를 모니터링합니다. 실시간 보고서를 확인하여 이벤트가 트리거될 때 실제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보고서는 이미 수집하고 있는 데이터, Google Play 스토어나 iOS App Store의 앱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수집할 이벤트에 대한 추천을 제공합니다(예: 전자상거래, 여행). 세 가지 추천이 기본으로 이벤트 표 상단에 표시됩니다.
이벤트를 수집하는 코드 스니펫을 표시하려면 해당 이벤트의 행을 클릭하세요.
추천을 닫으려면 이벤트 이름 위로 마우스를 가져간 다음 삭제 아이콘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