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로또 분석을 하겠다고 마음을 먹고 난 이후로 약 2주가 지났다.
그 사이에 두번의 추첨이 더 있었던것....
ML 분석까지 한 다음에 그 결과로 로또를 사서 비교해보고싶었다.
하지만, sklearn 을 쓰는 방법을 이렇게 까지 까먹었을 줄이야.....ㅜㅜㅜ
ML 은 Next Step 으로 가져가기로 하고 일단은 EDA 결과로 먼저 테스트를 해보기로 하자.
1062까지 데이터 새로 수집
- 1063을 예측하기 위함
- 추후에 ML 분석 하려면 feature 가 많은게 좋아서 추첨일 데이터를 추가해봄
파생변수 만들기
- 추첨일 데이터를 쪼개서 파생변수를 만들었다.
년도별 평균 숫자 시각화
최근 300회차 번호 추이
자리별평균 : 8, 15, 21, 26, 33, 39, 22
45 : 13회
12 : 12회
35 : 11회
14 : 10회
22 : 10회
26 : 10회
1 : 2회
43 : 2회
4 : 3회
8 : 3회
10 : 3회
28 : 3회
직전인 1062 당첨 번호 : 20, 31, 32, 40, 41, 45 / 12
가장 적게 등장한 숫자 기준
평균으로도 골라보자
가장 많이 등장 한 숫자로도 골라보자
최근 50회차 번호 추이
50 추이 그래프 보고 하향세로 대충 찍어보기
- EDA 로 로또찍기는.... 쉽지 않다.
- 지난번 숫자들이 높게 튀어서, 이번에는 좀 낮은 숫자가 나올 거라는 생각은 맞았다.
- 근데 그게, 22,23,24 일 줄이야......
그래도 자동보다는 그래프 보고 찍어본게 결과가 조금 더 좋았기 때문에, 상심하지 않고 다음번에 더 해볼 생각이다.
-> 다음주에는 ML 을 적용해서 회구 분석 한걸로 사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