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그래프(open graph)란?
- 오픈그래프(open graph)는 웹사이트가 다른 소셜미디어로 공유 될 때 가장 먼저 표시되는 정보이다.
- 메타데이터에 속하는 데이터로,
<meta property="og:오픈그래프 속성" content="오픈그래프 속성값">
으로 사용한다.
- 여기서 og는 오픈그래프를 뜻하며, 오픈그래프 속성으로는
type
, site_name
, title
, description
, image
, url
등이 있다.
- 참고 URL - https://ogp.me/
예시
<meta property="og:type" content="website">
<meta property="og:site_name" content="사이트 이름">
<meta property="og:title" content="페이지 이름">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페이지 설명">
<meta property="og:image" content="미리보기에 사용될 이미지">
<meta property="og:url" content="사이트 주소">
사이트와 페이지의 관계
- 간단하게
site_name
과 title
은 부모와 자식의 관계로 생각해 볼 수 있다.
- 만약 A라는 사이트에 속한 회원가입 페이지라면
site_name
은 A가 될 것이고, title
은 회원가입이 될 것이다.
예시
<meta property="twitter:card" content="summary">
<meta property="twitter:site" content="사이트 이름">
<meta property="twitter:title" content="페이지 이름">
<meta property="twitter:description" content="페이지 설명">
<meta property="twitter:image" content="미리보기에 사용될 이미지">
<meta property="twitter:url" content="사이트 주소">
SEO(Search Engine Optimazation)
- 다른 검색포털에서 정보를 가져가기 쉽게 정보를 최적화하는 것을 SEO 즉, 검색 엔진 최적화라고 한다.
- 오픈그래프나 트위터카드 역시 검색엔진이 가져갈 정보를 최적화 하는 행동이므로, SEO에 포함되는 행동이다.
+
- 메타데이터처럼 검색엔진이나, 외부의 브라우저들이 최우선적으로 가져가는 정보들은 head 태그 내부의 상단에 작성한다.
- 메타데이터들을 읽기 위해 더 깊이 내려와 CSS나 JS 등을 읽을 필요가 없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