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URI, IP, DNS

최경락 (K_ROCK_)·2021년 12월 24일
0
post-thumbnail

URL

  • URL 이란, Uniform Resource Locator 의 줄임말이다.
  • 네트워크상의 웹 페이지나, 파일들이 위치한 정보를 나타낸다.

URL의 구성요소

  1. scheme
    • 통신방식, 즉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 일반적으로는 http(s)를 사용한다.
  2. hosts
    •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웹서버의 이름 혹은 도메인, IP.
  3. url-path
    • 웹서버에서 지정한 루트(/) 디렉토리부터 파일의 위치까지의 경로들을 나타낸다.

URI

  • URI 란, Uniform Resource Identifier 의 줄임말이다.
  • URL을 포함한 상위개념이다.
    ULIURL이 포함되어 있다.
  • URL에 더해 querybookmark 를 포함한다.
  • query는 웹서버에 전달하는 추가 질문으로 볼 수 있다.
// 구글에서 mdn 을 검색한 경우

    https:// www.google.com/  search  ?q=mdn&newwindow=1&....
// |-scheme-|-----hosts-----|url-path|---------query---------|
// |---------------URL---------------|
// |--------------------------URI----------------------------|
  • 위의 예시를 설명하자면, 보여지는 페이지는 search 페이지 이지만, query를 통해 어떤 것을 검색하고, 어떤 옵션을 설정했는 지에 대한 추가 질문을 전달 할 수 있는 것이다.

IP Address

  • IP Address 란, Internet Protocol Address 의 줄임말이다.

IPv4

  •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IP 주소는 000.000.000.000 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런 주소체계IPv4 라고 한다.
    → IPv4 : IP 주소 체계의 4번째 버전
  • 알고있으면 유용한 IP 주소.
    1. localhost, 127.0.0.1
      • 현재 사용 중인 로컬 PC.
    2. 0.0.0.0, 255.255.255.255 : broadcast address
      •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장치와 소통하는 주소.
      • 서버에서 접근 가능 IP 주소를 broadcast address 로 지정하면, 모든 기기에서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IPv6

  • IPv4가 IP 주소 체계의 4번째 버전인 것과 같이, 주소 체계의 6번째 버전임을 명시한다.
  • IPv4가 할당 될 수 있는 PC가 IPv4가 할당 할 수 있는 수보다 늘어나면서 등장하게 되었다.
    → 우리나라 번호판이 앞자리가 3개로 바뀐 것과 같은 맥락이다.

Port

  • IP 주소가 가리키는 PC에 접속 할 수 있는 통로를 의미한다.
  • 예를 들자면, 같은 IP로 접속하지만 liveserver 가 실행되는 localhost:2000, react가 실행되는 locahost:3000 포트는 서로 다른 화면을 표시한다.
  • 포트는 0부터 65,535 까지 사용 할 수 있으며, 각 포트는 서로 중복 될 수 없다.
  • 0~1024 는 용도가 이미 정해져 있으며, 22(SSH), 80(HTTP), 443(HTTPS) 가 가장 자주 사용된다.
  • 1024 까지의 포트는 URI에 명시하지 않아도 되지만, 그 외의 포트들은 반드시 포함하여 작성해야한다.

도메인(Domain)

  • 모든 웹 사이트들은 IP 주소를 가지지만, 우리가 IP 주소를 이용하여 사이트에 접속하기는 많이 불편하다.
  • 예를 들자면, 네이버는 223.130.195.95, 구글은 142.251.42.174 를 주소창에 작성하여 접속 할 수 있지만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웹사이트의 IP 주소는 터미널 혹은 CMDnslookup 웹사이트 주소 작성하여 찾을 수 있다.
  • 우리는 웹사이트에 접속 할 때, naver.com 혹은 google.com 이라는 주소를 작성하여 접속하는데 이를 도메인이라고 한다.
  • 우리가 택시를 타고 목적지를 이야기 할 때 도로명 주소를 말하는 것 대신, 건물이름을 이야기 하는 것과 비슷하다.
    → 도로명 주소 : IP , 건물이름 : 도메인

DNS

  • DNSDomain Network System 의 줄임말이며, 도메인과 IP를 매칭한 값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이다.
  • localhost128.0.0.1 대신에 도메인으로 사용되지만, 대여를 위해 값을 지불 한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 그러나 우리가 사용하는 사이트들의 도메인값을 지불하고 일정기간 대여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 이렇게 대여한 도메인IP주소와 함께 DNS에 저장되는데, 우리가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에서 도메인과 연결된 IP를 찾고, 클라이언트와 해당 웹 사이트가 통신이 가능하게끔 한다.

도메인 입력 - DNS 에서 연결된 IP 찾음 - 해당 웹서버에 요청 전송 - 클라이언트에 전달


+

  • 우리가 주소창에 주소를 작성하고 엔터를 입력하면, DNS를 통해 해당 도메인에 연결 되어있는 IP주소GET 요청을 하는 것과 같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