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의 동작 원리를 알기 위해서는 javascript 동작 원리를 먼저 알아야한다.그래서 먼저 javascript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려고 한다\~~javascript는 싱글 스레드로 동작하는 언어이다.싱글스레드이기 때문에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할 수
계정 정보를 요청 Header에 넣는 방식은 절대 안된다. 보통 앱에서 서버로 HTTP 요청을 할 때 따로 암호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해커가 HTTP 요청을 가로채서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그래서 사용하는 인증 방식 중 Session/Cookie 방
SQL은 구조화된 쿼리 언어(Structured Query Language)이다.데이터는 정해진(엄격한) 데이터 스키마에 따라 테이블에 저장된다.데이터는 관계를 통해 여러 테이블에 분산된다.데이터는 테이블에 레코드로 저장되며, 각 테이블에는 명확하게 정의된 구조가 있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한다.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병행 제어 및 회복 작업 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이다.사용자가 시스템에 대한
ORM Object Relational Mapping 객체-관계 매핑으로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연결)해주는 것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클래스를 사용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을 사용한다. 객체 모델과 관계형 모델 간의 불일치
GraphQL(gql)은 Structed Query Language(sql)와 마찬가지로 쿼리 언어이다. 하지만 gql과 sql의 언어적 구조 차이는 매우 크다.sql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가져오는 것이 목적이고, gql은 웹 클라이언트가
제네릭은 데이터의 타입을 일반화하는 것을 뜻한다. 자료형을 정하지 않고 여러 타입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즉, 선언 시점이 아니라 생성 시점에 타입을 명시하여 하나의 타입만이 아닌 다양한 타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으로, 재사용성이 높은 컴포넌트를 만들 때 자
페이지네이션에 대해 알아보다가 인덱스를 타는지 확인하고 효율적인지(?) 판단하는 글을 봤는데 정확하게 인덱스를 탄다는게 무슨 소리 이해를 못해서.. 인덱스에 대해 먼저 알아보려고 한다.추가적인 쓰기 작업과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
문제를 여러 개의 객체 단위로 나눠 작업하는 방식으로, 객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래밍 이론OOP는 코드 재사용성과 생산성의 향상 효과를 볼 수 있고, 유지보수의 편의성 덕택에 협업이 중요하고 규모가 큰 대형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이론이다.코
MSA는 하나의 큰 어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쪼개어 변경과 조합이 가능하도록 만든 아키텍처이다.레고처럼, 작은 레고블록(MicroService) 하나하나를 붙여서 어떠한 큰 결과물을 만드는 형태를 MSA라고 할 수 있다.Monolithic 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