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ReactNative(맥북 환경 설치) & 첫 출근

jake·2022년 2월 14일
0

reactNative

목록 보기
8/11
post-thumbnail

NEO(New Employee Orientation)

오늘은 첫 출근하여 NEO를 진행했다.
회사가 공유오피스라서 공유오피스 사용법과 회사 조직도, 프로그램 구조 및 개발일정, 회사 이메일 생성, 이사님 구글 캘린더 연동 등 많은 것들을 했다.
첫 출근이지만 CTO님, 개발자님들, 디자이너님 모두 분위기 좋게 일하시고 같이 입사한 항해 동기분도 있으니 열심히 성장만 하면 될거같다. 항해 시즌2 시작이다.

맥북 ReactNative 환경설치

우선 공식문서 그대로 따라가면된다.
https://reactnative.dev/docs/environment-setup

따라가다 보면 환경변수 설정하는 것들이 몇개 나온다. JAVA 같은 경우 환경 변수를 따로 설정하라고 공식문서에 없지만 꼭 해줘야한다.


환경변수

#JAVA
export JAVA_HOME=$(/usr/libexec/java_home -v 1.8)
# export JAVA_HOME=$(/usr/libexec/java_home -v 16.0)
# export JAVA_HOME=“/usr/libexec/java_home -v 1.8”
# java -version
# /usr/libexec/java_home -V

#NVM
export NVM_DIR=“$HOME/.nvm”
[ -s “/opt/homebrew/opt/nvm/nvm.sh” ] && . “/opt/homebrew/opt/nvm/nvm.sh”  # This loads nvm
[ -s “/opt/homebrew/opt/nvm/etc/bash_completion.d/nvm” ] && . “/opt/homebrew/opt/nvm/etc/bash_completion.d/nvm”  # This loads nvm bash_completion

# Added by Amplify CLI binary installer
export PATH=“$HOME/.amplify/bin:$PATH”

#Ruby
export PATH=“$HOME/.rbenv/bin:$PATH”
eval “$(rbenv init - zsh)”

#Android
export ANDROID_HOME=$HOME/Library/Android/sdk
export PATH=$PATH:$ANDROID_HOME/emulator
export PATH=$PATH:$ANDROID_HOME/tools
export PATH=$PATH:$ANDROID_HOME/tools/bin
export PATH=$PATH:$ANDROID_HOME/platform-tools


환경변수 설정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 터미널에서 환경변수 설정하는 방법이다. 터미널에서 vi ~/.zshrc 입력 후 엔터를 친다. 접속된 파일 글자 맨 끝에 가서 a를 누르면 insert를 입력할 수 있다. 위 환경변수들을 넣어준다.(리액트 네이티브 환경을 설치하다보면 차례대로 환경변수들을 넣게 되는데 위에코드가 최종적으로 넣은 환경변수들이다.)
그리고 esc 한번 누르고 :wq!로 파일을 빠져나온다. 다시 vi ~/.zshrc 입력 후 엔터를 친다. 입력한 환경변수들이 그대로 남아있다면 esc 한번 누르고 :q!로 나온다. 그리고 source ~/.zshrc를 입력해서 적용 시켜주면 끝

공식문서에서는 JAVA에 대한 환경변수 설정이 없지만 꼭 해줘야한다. (현재 JAVA 1.8로 해놨지만 공식문서에 11.0으로 설치로 권장하여 설치는 11.0으로 해놨다. 나중에 바꿔야할거 같다)

NVM관련 된 환경변수는 brew로 nvm을 설치할 때 설정해야 할 변수가 나타난다. 그대로 복사해서 입력해준다. nvm 환경변수를 설정해야 터미널에서 nvm 커맨드를 실행시켜줄 수 있다.

Amplify는 아직 잘 모르겠다. 내일 물어봐야겠다.

Ruby는 ios cocoapods가 mac m1환경에서 install이 안되서 설정해줬다. 우선 터미널에서 루비가 깔려 있는지 확인 하고 차례 대로 진행한다. 중요한건 cocoapods도 brew로 설치해줘야한다.


루비관련 터미널 코드

ruby -v  // 버전확인
brew install rbenv // 루비 패키지 매니저
rbenv install -l // 루비 버전 리스트
rbenv install 3.1.0  // 최신 버전 설치함
rbenv global 3.1.0 // 글로벌 설정
rbenv rehash // ? (얘뭐였지 무튼 얘도해야한다) 

brew install cocoapods

andriod는 공식문서에 있는것 그대로 복사해서 넣으면 된다.

두번째 방법은 터미널에서 vscode를 실행시켜 적용하는 방법이다.
커멘드 + shift + p 를 누르고 PATH를 입력하여 install 한다. 이것은 터미널에서 code 커맨드를 이용해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터미널에서 code ./ 을 입력하면 vs code에 .zshrc파일이 나타난다. 여기서 환경변수를 넣어주고 저장 후 터미널에서 source ~/.zshrc 를 입력해주면 된다.

그리고 설치한 Xcode같은 경우 설치 후 preperence의 location을 들어가서 Command Line Tools를 클릭하여 설정해 줘야한다.

Android studio도 가상머신을 설치해줘야한다.

설치 마치고 터미널에서 npx react-native init 프로젝트명
입력해주면 오류 없이 설치 끝~

공식문서를 토대로 설치해 나가면서 환경설정만 주의해서 잘 해주고 Xcode, Android까지 만 신경 써주면 설치하는데 무리없다. 말은쉽다.

profile
열린 마음의 개발자가 되려합니다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