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

jake·2021년 8월 6일
0

JavaScript문법

목록 보기
17/21
post-thumbnail

배열의 메소드

  • push : 배열 맨 마지막에 데이터 추가
  • pop : 배열 맨 마지막 데이터 추출
  • slice : 배열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복사해서 추출
books = ['a','b','c','d','e']
const onBooks = books.slice(1,3) // [b,c] 가 나옴. 두번째 인자 전까지 복사해서 추출
  • splice : 배열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꺼내오고, 꺼내온자리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books = ['a','b','c','d','e']
const onBooks = books.splice(2,3,f,g,h)
console.log(onBooks) // ['c','d'] 나옴
console.log(books) // ['a','b','e','f','g','h'] // 추출된 2개 빼고 f,g,h 추가됨
  • pop & slice & splice
  1. pop 는 배열의 맨 마지막 데이터를 추출 한다. 즉 원본 배열의 데이터를 변화시킨다.
  2. slice 는 배열의 원하는 위치 값의 데이터를 복사한다. 즉 원본 배열의 데이터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3. splice 는 배열의 원하는 위치값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가변인자를 추가한다.

  • shift() : 맨앞에 데이터를 추출
books = ['a','b','c','d','e']
books.shift() 
console.log(books) // [b','c','d','e']
  • unshift() : 맨앞에 데이터를 추가
books = ['a','b','c','d','e']
books.unshift('h') 
console.log(books) // ['h','a','b','c','d','e']
  • join() : 배열을 하나의 문자열로 합쳐준다. () 안에 값을 넣으면 구분하는 곳에 쓰인다. default는 ,이다.
books = ['a','b','c','d','e']
allBooks = books.join()
console.log(allBooks) // 'a,b,c,d,e'
  • split() : 문자열을 () 의 구분자를 기준으로해서 배열로 만들어준다.
allBooks = 'a,b,c,d,e'
const newBooks = allBooks.split(,)
consol.log(newBooks) // ['a','b','c','d','e']
  • join 과 split
    join으로 배열을 문자열로 만들어주었다면 split를 이용하여 배열로 만들어줄 수 있다. 쌍으로 같이 많이 쓰인다.

  • concat() : 배열을 합치는 메소드. 인자에 추가된 배열이 뒤로 추가된다.
const oneBooks = ['A']
const twoBooks = ['B','C']
const nextBooks = oneBooks.concat(twoBooks);
console.log(newxtBooks) // ['A'.'B','C']

- 전개연산자 : concat보다 가독성이 좋고 표현력이 높다.

const oneBooks = ['A']
const twoBooks = ['B','C']
const nextBookList = [...oneBooks, ...twoBooks];
console.log(nextBookList // ['A'.'B','C']
profile
열린 마음의 개발자가 되려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