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 처리 -> 출력 Hellow 월드 hello.js파일생성-> Terminal -> new Terminal -> Terminal영역에 node hello.js 입력 -> hello.js에 입력하였던 값이 나타남 변수 let 변수이름 = 값 const는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시스템UI를 다루는 어플리케이션 입장에서는 특정UI가 사용자와 인터렉션할 때 실행해야 할 코드가있는데, 이 코드를 코드상으로 특정할 수가없다. 왜냐면 사용자가 언제 UI에 반응할지 알 수가 없으니까. 그래서 이벤트 시스템이등장함addEventList

변수, 함수, 속성명을 지을 때 유니코드 글자를 이용하여 작성한다. 숫자로 시작할 수 없고 공백문자를 포함할 수 없다.식별자는 코드의 일부분이지만, 문자열은 데이터이기 때문에 식별자와 문자열은 다르다.식별자(변수명,함수명,속성명)를 문자열(데이터)로 변환할 수 없지만문

기본자료형(Primitive)인 여섯가지 데이터 타입Boolean : true or falseNull : 값이 없다.Undefined : 값이 정의 되어 있지 않다. 자바스크립트에만 있는 특별한 데이터 타입Number (en-US) : 숫자. 자바스크립트는 정수, 소수

let을써서 변수를 선언한다. let x = 10;const를 써서 상수를 선언한다. const y = 10;let(변수)는 말그대로 값이 변할 수 있고 상수는 값이 변할 수 없다.상수의 영향 범위는 안의 내용물(속성)에 관하여서는 변경하여도 상관없다. 하지만 xy객체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성요소를 보면 식과 문으로 나눠진다. 식 값으로 환원 된다. ; 으로 끝내준다. 예를 들어 식 3개가 있는데 식 3개가 값1개를 반환하는지 각각 1개의 값을 반환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식을 ; 으로 구분 지어주는것이다. 값이라고 명명한 것들은

값을 변수로 할 당할 때 변수와 변수사이에 그 값이 이동하는 메커니즘기본 데이터 타입들은 변수에 들어갈 때 실제 값이 들어간다. (복사메커니즘)객체 값은 복사되지 않고 참조 된다.즉, 객체자체가 들어가는게 아니라 객체는 한곳에 저장되어있고, 그 저장되어있는 위치값만 변

조건문 if문 switch

반복을 하기전에는 반드시 초기값을 셋팅해 줘야한다.for문안에 선언된 변수는 for문 안에서만 쓰고 폐기된다.조건식을 비교하고 for문을 돌지 안돌지 판단한다.while은 초기값을 밖에 선언해줘야한다. 때문에 do while같이 밑에 다른 반복문에 사용할때 항상 초기값

thorw new Error는 에러 객체 instance를 만들어서 사용하게 되어있다.thorw가 발생했는데 어디서도 받아주지 않으면 프로그램 종료된다.그래서 thorw를 받는 try catch finally를 쓴다.try로 일단 함수를 시도해본다. 시도한 함수에서 예

함수는 이름이 없이 만들 수 있다. = 익명함수자바스크립트는 언어레벨에서 함수를 값으로 취급한다. 즉, 함수를 변수(상수)에 넣을 수 있다. 함수가 들어간 변수가 함수의 이름이 된다.즉시 실행 함수 (단 한번만 실행해야하는 함수에 사용)가변인자자바스크립트 함수 인자에

메소드 표현방법 (1,2,3)getter, setter객체 내부적으로는 실제 함수(코드)인데 객체 외부에서는 속성(데이터)처럼 보이게 하는 것객체 구성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 속성 삭제 방지는 객체를 생성하는 3번쨰 방법인 Object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야한다. 아래

일급함수는 함수를 일반적인 값처럼 취급하다는 것인자를 함수로 넘겨주는 기법 사용반환값으로 함수인 경우(변수에 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기면서 표현력이 극대화 된다)이코드에서 '여름세일', '겨울세일'을 지우면 3번째 것이 직관적으로 어떤것을 표현하는지 한눈에

일반적인 함수 표현제너레이터 함수 표현 (function\*)제네레이터 함수는 첫번째 호출을 하면 일반 함수와 달리 자신을 실행시키지 않는다. 정확히는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도구를 갖고있는 객체를 만들어서 넘겨준다.만들어진 객체(energyGenrator)는 next()

Typescript로 만들었다.함수로 객체 만들기객체 리터럴로 객체만들기객체리터럴보다 함수로 객체를 만들어야 나중에 구조변경도 용이하다.클래스를 이용해서 객체를 만드는 방법클래스로 객체를 만드는 방법은 규격을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장점이있다.if (Jake

Class를 만들고 그 내부에 메소드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과 바깥쪽에 메소드를 사용하는 것의 차이를 알아보자.Class내부에 있는 메소드를 사용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객체의 메소드만 호출된다.바깥쪽에 선언된 메소드를 사용한다면 사용자 입장에서 메소드를 사용하기위해서 알

배열의 메소드push : 배열 맨 마지막에 데이터 추가pop : 배열 맨 마지막 데이터 삭제slice : 배열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복사해서 추출splice : 배열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꺼내오고, 꺼내온자리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shift() : 맨앞에 데이터를 삭

foreach는 배열에서만 쓰이는 메소드이다.인자로 함수를 받으며, 함수의 인자값은 배열의값, 인덱스, 배열자체 3가지를 받는다.for문과 다른 특징은 변수를 선언하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좀더 안정적인 코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가 방대할 경우 foreach

프로토타입재활용 - 자기가 갖고있으면 좋을 데이터와 메소드만 가지고있고, 공통적으로 사용될 만한 것을 상위객체에 만들어 놓는다.자바스립트 Foo함수 Foo함수는 객체로 만들어져 있어서 \_\_proto\_\_속성을 가지고있다.Foo.prototype이라는 속성도 가지고

1\. 어떤 객체의 메소드에 접근한다는 뜻, 호출2\. 호출하는 맥락, this 그 맥락을 가리키는 지시어3\. person 객체에 함수로 만들어 놨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실행하는 순간 함수의 소유자가 결정됨때문에 person.getAge()를 실행하면 person객체의

전역변수로 생성하면 중간에 값이 바뀔 때 보호할 수 없다.값이 변경 되는것을 방지하기위해 함수안쪽 지역변수로 생성해보자. 계속 1이 리턴된다. (지역변수는 한번리턴되면 사라진다.)계속 1로 리턴 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increment함수를 함수로 리턴해준다.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