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별자

jake·2021년 7월 30일
0

JavaScript문법

목록 보기
3/21
post-thumbnail
  • 변수, 함수, 속성명을 지을 때 유니코드 글자를 이용하여 작성한다.
  • 숫자로 시작할 수 없고 공백문자를 포함할 수 없다.
  • 식별자는 코드의 일부분이지만, 문자열은 데이터이기 때문에 식별자와 문자열은 다르다.
    식별자(변수명,함수명,속성명)를 문자열(데이터)로 변환할 수 없지만
    문자열(데이터)을 분석해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 <= computed propoerty라고한다. 아래 코드와같이 브래킷[]으로 객체의 속성명을 감싸고 문자열을 주면 ['myName'] o.myName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const o = {
    age:10,
    ['myName'] : '김'
}

o['myName'];

또한 ['myName']는 데이터로 표현하는 방식이기때문에 공백도 표현할 수 있고 숫자로 시작할 수 있다. 속성명 접근에 할때도 만들었을때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면 접근이 가능하다.

const o = {
    age:10,
    ['123my Name'] : '김'
}

o['123my Name'];
  • 관습적인 컨벤션
  1. 상수는 대문자로 식별자를 써준다. const AGE = 10;
  2. 식별자의 단어가 길면 카멜케이스,스네이크 케이스를 쓴다.
    const setAge = 10;
    const set_Age = 10;
profile
열린 마음의 개발자가 되려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