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팀원들에게 지금까지 봐왔던 모습을 통해 서로 장단점을 말해주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저의 장점으로는 수용성이 강하다고 말해주었습니다. 본인에게 싫은 소리를 잘 받아들이고, 고치려는 노력을 한다고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단점으로는 자신감이 없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자신감만 있으면 정말 좋겠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스스로 장단점을 찾는 거 보다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선으로 나를 마주하니 색다른 기분이였습니다. 남들은 나를 이렇게 생각하는구나라는 느낌을 받았고, 내가 몰랐던 장점을 들으니 기분이 좋았습니다. 내가 바라보는 나와 남들이 바라보는 내가 크게 다르진 않았지만 직접적으로 듣게 되니 와닿는 느낌은 달랐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자신감을 키우기 위해 어떻게 해야할 지 좀 더 고민을 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일을 시작하기 전에 최악의 경우를 생각하고 일을 진행하는 편이다. 플랜을 짤 때에도 최소한의 목표치를 정해서 이것만큼은 이루고자 노력하는 편이다. 이번 학기에도 부트캠프를 병행하면서 스케줄이 많이 빡빡했지만, 최악의 경우를 항상 머릿 속으로 생각해서 위기감을 느낀 덕에 이루고자 하는 최소 학점을 얻었다.
포기에 익숙하지는게 싫어서 가끔 싫은 일이 있을 때에도 억지로 해내는 편이다. 예를 들어 군대에서 전역하기 이틀 전에도 40km 행군이 있었다. 간부님께서 무사 전역을 시켜주기 위해서 당직 근무로 대체시켜주겠다는 제안을 하셨지만, 포기하는 느낌이 들어서 완전 군장으로 행군을 끝마쳤다. 이 외에도 사실 부트캠프를 하면서, 학교와 병행한 탓에 부트캠프에서 배운 내용울 집에 와서 따로 공부를 할 시간이 많지 않았다. 남들보다 내가 실력이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을 때 포기할까를 고민은 많았지만, 어떻게든 수료를 하고 그 이후에 배웠던 내용을 다시 공부하자라는 마음으로 버티고 있다.
디자인 씽킹이라는 과목에서 팀 프로젝트를 했던 경험이 있다. 자료조사와 발표 자료를 준비하는 역할을 맡았다. '도로 포장 종류에 따른 사고 발생도'라는 주제였기 때문에 각 종류에 따른 실제 사고 사례 수를 수치화해서 발표자에게 메일을 보냈다. 팀원의 피드백으로 수치화를 시각화해서 보여주라는 의견을 수용해서 성공리에 발표를 잘 마쳤던 경험이 있다. 그 외에도 남이 해주는 냉철한 조언들은 기분 나빠하지않고 인정하는 편이다. 예를 들어 스타일이 보기 좋지 않으니깐, 외면을 가꾸라는 말 또한 기분 상하지 않고 운동도 하고 헤어스타일도 바꾸는 노력을 시도했다.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어떤 활동을 시작할 땐, 의욕이 넘치지만 남들이 나보다 잘하는 모습을 보거나 나 스스로에게 만족하지 못하는 모습이 있다면 실의감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남과 비교하려 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인 것 같다. 그래도 포기를 하지 않는 성격이기 때문에 초반엔 남들보다 느릴지 언정, 결과를 보면 끝까지 해내는 편이다.
부트캠프 활동을 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점 중의 하나이다. 학교에서 이론 수업을 듣고 전공 시험을 치를 땐, 시험을 치르기 전까지 충분한 시간이 있기 때문에 결과만을 보면 좋은 성과를 얻었었다. 하지만 부트캠프에서 이론 수업을 듣고 그 이론을 활용해서 바로 과제를 풀거나 실습 활동을 하면 남들에 비해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였다. 심지어 가끔 바로 이해가 안되서 인터넷에 검색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개인적으로 보충 공부를 하는 편이다.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생각한다. 확실히 구분짓고 한 가지 일에 집중해야하는데, 머릿 속에 한 가지가 자리잡으면 계속 신경이 그리로 향하는 편이다.
다수의 사람들에게 이목이 집중되면 긴장을 하는 편이다. 긴장을 하면 몸에서 티가 나는 편이라 말할 때 목소리가 떨린다. 또 긴장을 하면 사고 회로 능력이 떨어져서 유연한 사고 방식을 하지 못하게 된다. 어릴 때부터 긴장을 자주하는 모습이 보여서
직무에 대한 이해도 있는지 알아야 한다. 인재상은 반드시 외우고 가고, 남탓은 본인 얼굴의 침 뱉기이다. 본인의 단점은 구체적인 사례가 있어야 한다. 장점같은 단점은 하지 말고, 자신에 대한 깊게 성찰을 해봤고 피드백을 해 본 경험이 있는지 확인.
왜 우리 회사여야만 하는지 여쭤보는 의도이다. 회사에서의 매력 포인트가 자신이 선택한 회사의 선택 기준이다. 도전을 해서 실패해도 좋으니 다양한 활동을 하고 실패를 통해 피드백을 하려고 노력해야한다.
아직 직무를 정하지 못했기 때문에 위의 질문들에 대답을 하기 곤란하다. 그래서 지금까지 했던 스마트팩토리 교육과정에 배웠던 내용들은 Notion으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연습하기로 했다. 강사님께서 여러 노션 이력서 예시를 보여주셨다. 앞으로 피드백을 받으면서 포트폴리오를 완성시킬 예정이고, 이 교육과정이 끝나도 만든 포트폴리오 틀안에서 내용을 추가할 계획이다.
https://cucus.notion.site/FullStack-Programmer-26ad44edea894f59b4d35442b286271d
https://donghwi-93.notion.site/donghwi-93/IU-fdad75fe243a4fd9958aae2e7b22ac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