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용한 에디터 에디터란 편집자, 편집기라는 뜻을 가진 영단어인데, 코딩을 하기 위해서는 에디터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윈도우에는 메모장, 맥에는 텍스트 편집기, 리눅스에는 gedit, nano, vim이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visualstudio.c
기존의 HTML은 웹 문서를 다양하게 설계하고 수시로 변경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스타일시트이고 스타일시트의 표준안이 바로 CSS입니다. 간단히 스타일시트라고도 합니다.CSS(Cascading Style Sheet)는 HTML과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는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html로는 웹의 내용을 작성하고, css로는 웹을 디자인하며, 자바스크립트로는 웹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자바스크립트는 주로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되지만, Node.js와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
자바스크립트는 여러 종류의 연산을 위한 다양한 연산자(operator)를 제공하고 있습니다.산술 연산자는 사칙연산을 다루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많이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산술 연산자는 모두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며,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왼쪽에서
작성자는 생활코딩의 JavaScript-Ajax 강의를 들으며 공부하였습니다!Ajax란 비동기 자바스크립트와 XML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을 말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XML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하는
작성자는 생활코딩 강의를 들으며 공부하였습니다! 개요 이 글에서는 서버쪽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웹브라우저의 자바스크립트만을 이용하여 페이스북에 로그인하는 것을 배울 것입니다. access token이라는 정보를 이용하면 이들 서비스를 마치 나의 서비스인 것처럼 사용자
작성자는 생활 코딩 강의를 들으며 공부하였습니다!이 글은 서버쪽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웹브라우저 위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구글에 로그인 하는 방법입니다.먼저 이론적인 얘기를 살펴본다면 일반적인 인증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우선 예를 들어, 우리의 서비스가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