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의 구조적인 요소를 나타냄
레벨 요소는 언제나 새로운 줄에서 시작하고 한 줄 전체를 차지함
문장, 단어 등 작은 부분에 주로 사용
인라인 요소는 바로 이전 요소가 끝나는 지점부터 시작해서 요소의 내용만큼만 줄 차지
같은 형태의 다른 요소를 안에 포함 할 수 있음
(블록>블록, 인라인>인라인)
대부분의 블록
요소는 인라인 요소도 안에 포함 시킬 수 있음
(블록>인라인)인라인 요소 안에는 블록 요소를
포함 할 수 없다.
제목에 사용되는 태그 글씨
h1은 전체 페이지 목적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제목이라 페이지당 하나의h1만 사용
h2~h6는 순서 건너 띄는 사용은 자제해서 사용
문단을 나타내서 사용
ul는 순서가 없는 목록을 나타 낼 때 사용함
ol는 순서 있는 목록을 나타 낼 때 사용함 보통 숫자 목록으로 나타냄
태그안에 type속성에 따라 카운터 유형이 달라짐
ol type="a/A/I/i/1"소문자 알파벳/대문자 알파벳/소문자 로마숫자/
대문자 로마숫자/숫자
li ul과 ol의 자식 요소 목록의 항목을 나타냄, 부모태그가 있어야지 사용이 가능하다.
구문 콘텐츠를 위한 순수 컨테이너 div태그와 같이 아무런 내용이 없음
div와의 차이는 div는 블록요소 span은 인라인 요소
href라는 속성을 통해 어느 목적지든지 연결이 가능함
<a href="목적지">목적지 내용</a>로 사용한다.
빈요소라서 닫는 태그가 필요 없고,문서에 이미지를 넣어서 사용,
src 속성을 무조건 사용한다.
<img src="이미지 경로">로 사용한다.
순수 컨테이너 요소 아무런 내용이 없지만 id속성이나 class속성을 넣어서 css로 꾸밀때 사용한다.
공통적인 영역의 레이아웃을 나누는데 css에서 중요한 태그이다.
css로 꾸미기 전에는 아무런 표시가 안나는 묶음 용이다.
입력 요소 type 속성에 따라 다르게 사용이 가능하다.
button : 버튼을 만들어서 사용
checkbox : 선택가능한 박스를 만들어줌 여러개 만들었을 때 다중 선택 가능 하도록 사용
email : 이메일 주소의 형식대로 사용
password : 작성할 때 나는 비밀 번호를 안보여주게 사용이 가능
radio : checkbox처럼 선택가능한 박스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input 태그 안 name속성에 같은 값을 가진 애들은 하나만 선택 가능 다중 선택은 못하게 해줘서 용의하게 사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