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배운것!

김치헌·2024년 1월 10일
0

TIL

목록 보기
13/38

nullable 선언 = ?

Nullable 형식을 사용하면 변수가 값을 가지거나 null일 수 있음을 명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파일러는 null에 대한 경고를 표시하고 코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NullReferenceException과 같은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int? nullableNumber = null;

null 병합 연산자 = ??

이 연산자는 피연산자 중 첫 번째 피연산자가 null이 아니면 그 값을 반환하고, 첫 번째 피연산자가 null이면 두 번째 피연산자의 값을 반환한다.

int result = nullableNumber ?? 10;

Class는 설계도의 역할을 한다!

특정한 변수, 매서드 들을 가지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Main함수에서 작성하게 되면 매번 반복적으로 코드를 작성해야하고 객체 관리에도 어려움을 격게 된다.
이를 위하여 Class라는 설계도로 공장에서 찍어내듯 객체를 생성하여 관리 할 수 있으며
상속을 통하여 하위 카테고리의 객체들도 생성이 용이하다.
따라서, 설계도를 작성한 후 메인함수에서 객체를 생성해야 한다!

접근 제한자, 전역변수, 지역변수

접근제한자는 해당 변수나 메서드의 접근 범위를 제한하게 되는데 변수를 private로 선언하게 되면 다른 class에서 해당 변수를 참조할 수 없다. 이번에 실수했던 문제는 Class를 Public으로 선언하면 내부의 변수들도 하위 요소라서 Public으로 접근이 가능한 줄 알았는데 각 변수나 매서드 별로 private/public을 선택하여 정하여야 한다.
전역 변수인 static으로 선언하게 되면 객체를 생성하거나 전달 받지 않아도 해당 매서드나 변수를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static 함수 내에서는 Class내부에서 선언한 지역변수로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역변수 대신 static변수의 경로로 작성을 하여야 한다.

profile
초보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