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는 Java를 사용하고, 프론트는 Vue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엑셀 입출력은 어떻게 처리하는게 효율적일까? 고민이되어 스스로 비교하고 정리하여 작성하는 글.웹개발을 해본 개발자로써 기본적인 상식은, 비즈니스 로직은 백엔드에서 최대한 처리를 한다라고 인식을 갖고 있었
자바에서 클래스는 속성을 표현하는 필드(field)와 기능을 표현하는 메소드(method)로구성되어 있다. 또한 생성된 객체의 필드를 초기화하는 생성자를 포함하고 있다.자기 자신의 메모리를 가리킨다.생성자에서 다른 생성자를 호출한다.인스턴스가 자신의 주소를 반환할 때
테스트 내 객체와 인스턴스를 만들어 메서드들간에 공유를 할 수 있다. JUnit의 기본적인 전략으로는 테스트 메서드마다 인스턴스를 새로 만든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테스트 메서드를 독립적으로 실행해, 부작용을 막기 위함이다. 그런데, JUnit 5부터는 이 전략을 수정
테스트 메소드에 태그를 추가하면 내가 원하는 환경에 맞춰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만약 로컬 테스트와 개발서버 테스트를 구분하여 실행하야하는 메서드가 있다고 가정하자.이 때 각각의 테스트 메서드에 로컬과 개발서버를 구분하는 태그를 설정해놓고 필터링을 하면로컬 환경에서는
assertEqulas / assertNotNull / assertTrue / assertAll / assertThrows / assertTimeout
JUnit은 전 세계 Java 개발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라고 한다.그 중 JUnit 5는 가장 최근에 나온 프레임워크이다.JUnit 5는 Java 8 버전 이상에서 사용가능하다.JUnit 5는 JUnit 4와 다르게 모듈화가 되어있다.Platform
페이지 리다이렉션을 하는 방법으로 두가지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어 이번 기회에 정리하고자 한다. 리다이렉션은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를 접근했을 때, 의도적으로 다른 페이지로 이동시기는 방법이다. 간단하게는 프론트단인 html과 스크립트 등으로 이동시키는 방법과 서버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메시지로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다. HTTP 버전 HTTP/0.9 1991년: Get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X HTTP/1.0 1996년: 메서드, 헤더 추가 HTTP/1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 URL(Locator), URN(Name) 단어뜻 Uniform :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 자원, URL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제한 없음) Identifirer :
[인터넷 네트워크] IP TCP, UDP PORT DNS IP(Internet Protocol) 지정한 IP 주소(IP Address)에 데이터 전달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 보내는 서버 IP, 받는 서버 IP 그 중간에 여러 노드를 통해
Classic ASP에서 이메일 유효성 체크를 하려고 한다. 형태는 대충 이렇다. @ 선택하세요 gmail.com 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