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타입은 불변적이나, 참조타입은 가변적이다.원시타입(불변성o) - 고정된 크기로 Call Stack 메모리에 저장, 실제 데이터가 변수에 할당참조타입(불변성x) - 데이터 크기가 정해지지 않고, Call Stack 메모리에 저장, 데이터의 값이 heap에 저장되고 변
vsCode에서 Debugger for chrome Extension을 지원 중단하고, 자체 Js debug 도구를 사용 권장함.JavaScript Debugger 을 설치하면 이전 Extension과 동일하게 사용 가능..vscode 폴더 내 launch.json 을
백엔드는 Java를 사용하고, 프론트는 Vue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엑셀 입출력은 어떻게 처리하는게 효율적일까? 고민이되어 스스로 비교하고 정리하여 작성하는 글.웹개발을 해본 개발자로써 기본적인 상식은, 비즈니스 로직은 백엔드에서 최대한 처리를 한다라고 인식을 갖고 있었
자바에서 클래스는 속성을 표현하는 필드(field)와 기능을 표현하는 메소드(method)로구성되어 있다. 또한 생성된 객체의 필드를 초기화하는 생성자를 포함하고 있다.자기 자신의 메모리를 가리킨다.생성자에서 다른 생성자를 호출한다.인스턴스가 자신의 주소를 반환할 때
테스트 내 객체와 인스턴스를 만들어 메서드들간에 공유를 할 수 있다. JUnit의 기본적인 전략으로는 테스트 메서드마다 인스턴스를 새로 만든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테스트 메서드를 독립적으로 실행해, 부작용을 막기 위함이다. 그런데, JUnit 5부터는 이 전략을 수정
테스트 메소드에 태그를 추가하면 내가 원하는 환경에 맞춰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만약 로컬 테스트와 개발서버 테스트를 구분하여 실행하야하는 메서드가 있다고 가정하자.이 때 각각의 테스트 메서드에 로컬과 개발서버를 구분하는 태그를 설정해놓고 필터링을 하면로컬 환경에서는
assertEqulas / assertNotNull / assertTrue / assertAll / assertThrows / assertTimeout
JUnit은 전 세계 Java 개발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라고 한다.그 중 JUnit 5는 가장 최근에 나온 프레임워크이다.JUnit 5는 Java 8 버전 이상에서 사용가능하다.JUnit 5는 JUnit 4와 다르게 모듈화가 되어있다.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