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구매

- 검색창에 route 53을 검색해서 위의 그림처럼 나오는 Route 53을 클릭하자.
- 호스팅 영역을 생성해준다.

- 누르게 되면 위의 그림처럼 뜨게 되는데, 쓰고 싶은 도메인 이름을 써주고 나머지는 건들지말고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을 눌러주자.

- 그렇다면 이렇게 뜨게 되는데, NS 유형의 가장 오른쪽에 주소 4개가 쓰여져 있다.
- 이것을 복사해서 일단 보관해놓자.
- 그 후, 레코드 생성 버튼을 누르자.

- 두 개의 레코드를 생성해 줄 것인데, 하나는 A 유형이고 나머지 하나는 CNAME 유형이다.
- 위의 그림이 A 유형인데, 인스턴스의 탄력적 ip와 이 도메인을 연결해주는 역할이다.
- 레코드 이름은 적지 말고 값에 탄력적 ip 주소를 넣어주자.
- 레코드 생성

- 위의 그림은 CNAME 유형이다.
- 우리가 구매할 도메인 주소를 연결 시켜주는 역할이다.
- 레코드 이름은 www를 넣어주자.
- 값은 우리가 사용할 도메인 주소를 넣어주고 레코드 생성을 누르자.

- 그리고 왼쪽 사이드바에 등록된 도메인이라는 글자를 클릭한다.


- 사용하고 싶은 도메인 입력 후 확인 누르면 위의 그림처럼 가격이 나온다.
- 장바구니에 추가하고 맨 밑으로 내려서 계속 버튼을 클릭하자.
- 그렇다면 이제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창이 나오게 되는데 입력하고 결제를 하자.
- 결제를 한다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것이 아니다.
- 필자는 20분정도 걸렸다.
- 아마존 측에서 구매 확정을 지어주면 입력한 이메일로 확정을 해달라고 하는 메일이 날라간다.
- 클릭해서 확정을 해주자.

- 확정이 되면 왼쪽 사이드바의 대기 중인 요청에 있던 구매한 도메인이 등록된 도메인으로 이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해당 도메인을 클릭하자.

- 이런 창이 뜨는데 오른쪽 이름 서버에서 이름 서버 추가 또는 편집을 클릭하자.
- 기본적으로 있는 것들을 전부 지우고 아까 탄력적 ip 주소 생성했을때의 저장해두었던 4개의 주소를 추가해주자. 링크
- 이렇게 되면 이 도메인과 내가 생성한 탄력적 ip 주소가 연결이 된 것이며, 탄력적 ip 주소는 내가 생성한 인스턴스와 연결이 되어 있어서 아까 터미널 창으로 연 localhost가 탄력적 ip 주소를 가지고, 구매한 도메인으로 접속이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