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_Kotlin_예외처리

박성현·2023년 5월 3일
0

예외처리

  • 예외가 발생하는 부분 -> try{}
  • 예외를 처리하는 부분 -> catch{}

try {
    코드 -> 예외발생 가능한 코드
} catch(변수명 : 예외타입A) {
    예외를 처리하는 코드
} catch(변수명 : 예외타입B) {
    예외를 처리하는 코드
} finally { // finally는 꼭 안써줘도 된다
    예외가 발생하여도 무조건 실행되어야 할 코드
}
  • try문에서 A라는 예외가 발생하면 catch문에서 A라는 예외를 처리하겠다고 명시적으로 적어줘야한다 그렇지않으면 오류가 발생한다
  • 모든 종류의 예외를 포함하는 예외타입 -> Exception
  • try, catch는 독립적으로 사용할수 없다 (둘이 같이 써줘야한다)
profile
성장하고 싶은 안드로이드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