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개발 로그
post-thumbnail

Spring Boot의 Embedded Tomcat

Spring Boot의 spring-boot-starter-web 모듈에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는 embedded tomcat WAS(Web Application Server)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기본적으로 Spring Boot에서 사용하는 Apache Tomcat은

2021년 6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전략 패턴(Strategy Pattern)

배민의 우아콘2020에서 프론트 서버의 구조를 보던중에 문득 DIP(의존성 역전 원칙)와 관련있는 전략 패턴이 등장하여 다시한번 기억하고자 이 글을 작성합니다.흔히 우리가 많은 곳에서 쓰고 있지만 디자인 패턴 측면(좀더 이론적인??)에서 접근해보고자 합니다.추가로 Sp

2021년 6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boot의 Resource Server 구현

이전 시간에 이어 Resource Server를 구현하여 Authorization Server로 부터 받은 access token의 유효성을 체크해보겠습니다.Resource Server는 이전 시간에 개발한 Authorization Server로 부터 받은 access

2021년 6월 7일
·
0개의 댓글
·

Kafka(이벤트 브로커) vs RabbitMQ(메시지 브로커)

kafka와 rabbitmq 모두 pub/sub 기반의 메시지 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기존에는 rabbitmq보다 kafka에서 더 많은 기능 지원을 한다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요.이벤트 기반 MSA를 공부하면서 kafka와 rabbitmq에 대해서 조금은 더 자세히 알

2021년 6월 6일
·
3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boot의 Authorization Server 구현

이전 시간에 이어 Authorization Server를 구현하여 access token을 생성하는 것까지 구현해보겠습니다.IDE는 intellij를 사용했고 jdk는 8버전, gradle, jwt를 사용하였습니다.spring boot 프로젝트 설정은 start.spr

2021년 6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구글(firebase) 로그인

저번 시간에 이어서 firebase를 이용한 구글 로그인을 구현해보겠습니다.구글 로그인을 설정하기 위해서 firebase를 이용합니다.firebase 콘솔에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프로젝트 만들기"를 클릭합니다.저는 프로젝트 이름을 "example-googl

2021년 6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boot, kotlin 기반의 OAuth2 인증 서버 개요

Spring boot와 Kotlin 언어를 이용한 OAuth2 인증서버 구현에 관한 내용을 기록합니다.Authorization Server와 Resource Server 구현 및 Resource Server의 모듈화(maven 모듈)를 통해 Resource Server

2021년 6월 3일
·
0개의 댓글
·

MySQL의 Prepare Statement

JDBC에서 사용하는 PreparedStatement를 통해 쿼리를 실행할 때 해당 쿼리를 분석한 분석 정보를 저장해 매번 실행할 때마다 쿼리 분석 시간을 Skip하여 쿼리 실행 시간을 줄여준다고 알고 있었지만 MySQL의 경우에는 조금 다른 부분이 있어 기억하고자 이

2021년 5월 1일
·
0개의 댓글
·

react에서 styled components 사용시 input tag에서 focus를 잃어버리는 문제

react에서 styled components를 적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styled components를 input tag에 적용하여 사용하던 도중 input의 onChange()함수에서 state를 변경하였습니다. 하지만 컴포넌트에서 매 입력시마다 input에서의 focus를 잃어버리는 일이 발생하였는데요. 그 원인과 해결에 대하여 기록합니다. ...

2020년 1월 15일
·
3개의 댓글
·

자바스크립트의 얕은 복사(shallow copy)

react에서는 각 컴포넌트의 리렌더링을 최적화하기 위해 자바스크립트의 얕은 복사를 활용합니다. 얕은 복사로 렌더링할지 말지를 빠르게 결정하는 것입니다. 자바스크립트의 얕은 복사에 대하여 간단하게 적어봅니다. 1. Primitive type, Objects 자바스크립트의 타입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Primitive type과 Object가 그...

2020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create-react-app에서 react가 실행되는 기본 흐름(?)

리액트(react) 공부를 시작하면서 create-react-app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리액트에 필요한 환경설정들을 간편하게 구축해주고 리액트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돌려볼 수 있다고만 알고 있었는데... 공부하다가 가만히 생각해보니... 리액트는 js로 구성되어 있고 웹 브라우저는 그것을 요청해서 가져오는 것인데... '그럼 내가 지금 보고...

2020년 1월 9일
·
0개의 댓글
·

ant design 의 Upload 컴포넌트로 파일과 string 데이터 업로드하기

react를 배우면서 겪은 내용들을 로그해봅니다. 프론트는 React(with axios)로 작성하였고 백앤드는 node.js, express를 사용하여 API 서버로 구성하였습니다. 자세한 코드들은 생략합니다. 1. React에서 컴포넌트 작성 1.1 우선 React에서 ant design의 Dragger 컴포넌트를 작성합니다.

2020년 1월 8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