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세 번째 개인 프로젝트인 wordle maker project spring이 마무리되었다.2023/01/25 ~ 2023/02/03 (10일)하루에 적으면 1~2시간, 많으면 2~3시간Wordle Maker Project에서 nodejs로 구현한 기능 모두 다 구현
오늘은 2월 3일 10일차이다.코드 정리, 주석 처리세션 저장 수정세션을 저장할 때 makerNickname에 따라서도 구분을 해야 되기 때문에, map 형태로 세션을 저장해서, makerNickname을 key로, solverNickname을 value로 잡아 저장했
오늘은 2월 2일 9일차이다.웹소켓로컬 배포드디어 웹소켓이 끝났다.WebSocketHandler이다. makers는 닉네임에 따라 WebSocketSession을 저장하는 해시이다. handletextMessage에서 받은 메시지를 관리하는데, 만약 받은 메시지의 맨
오늘은 2월 1일 8일차이다.코드 정리웹소켓 공부 및 추가웹소켓은 일단 추가까지 다 끝났는데, 아직 확인해볼 것이 몇 개 더 있어서 내일 작성할 예정이다. 오늘은 어제 velog에 작성하지 못했던 코드들을 넣을 것이다.POST solve/{makerNickname}/t
오늘은 1월 31일 7일차이다.Service 구성(4)Controller 구성(4)일단은 모든 요청에 대해서 구현은 다 마무리했고, 이제 남은 것은 웹소켓뿐이다. 아직 코드 정리가 안 되어서 8일차에 오늘 했던 코드를 올려야 될 것 같다.어제 발생했던 keyState가
오늘은 1월 30일 6일차이다.Service 구성(3)Controller 구성(3)solve/{makerNickname}/init을 처리하는 메소드이다. Gson을 가져와서 요청으로 온 문자열을 객체로 변환해주었고, 적절한 처리 후에 다시 문자열로 변환해주었다. 코드
오늘은 1월 29일 5일차이다.Service 구성(2)Controller 구성(2)세션 추가오늘은 점심 때 약 5시간 정도의 코딩테스트 대회가 있었어서 저녁에 조금만 진행하였다. 여담이지만 아직도 ps 실력은 부족한 것 같다./make/init을 처리하는 메소드이다.
오늘은 1월 28일 4일차이다.ModelMapper 적용Service 일부 구성Controller 일부 구성먼저 ModelMapper 관련해서, 내가 원하는 것은 SolverDTO의 makerNickname을 Solver 엔티티의 maker에 대응시키는 것이다. 어제는
오늘은 1월 27일 3일차이다.DTO 구성오늘은 어제 구성한 Entity들을 기반으로 DTO를 구성해보았다.MakerDTO이다.SolverDTO이다.그리고 Entity에서 변경사항이 생겼는데, 기존에는 Solver가 Maker를 참조할 때 maker.id를 참조하는 것
오늘은 1월 26일 2일차이다.spring 프로젝트 생성git/github 연동mongodb, mariadb entity 및 repository 구성먼저 Spring Initializr로 프로젝트를 만들어 주었다. 빌드 타입은 gradle, java는 java 11로
오늘부터는 기존에 node.js로 제작했던 wordle maker project의 백엔드 부분을 스프링을 이용해서 개발할 것이다. 이를 위해 wordle maker project가 끝난 직후부터 JAVA(이것이 자바다)와 자바 웹 개발(자바 웹 개발 워크북)을 공부했고
내 두 번째 개인 프로젝트인 Wordle Maker Project가 마무리되었다.2022/11/01 ~ 2022/11/30 (30일)하루에 적으면 1~2시간, 많으면 3~4시간MakerPage, SolverPage, LoadPagemaker와 solver 정보를 저장할
오늘은 11월 30일 30일차이다.코드 정리 및 주석(백엔드)백엔드는 프론트엔드에 비해 코드의 양이 적다 보니 빠르게 정리할 수 있었다. 다만 오류가 하나 발생해서 프론트에서 고쳐줬다. 오류는 SolverPage에서 문제를 풀다가 버튼을 클릭해 wordle maker로
오늘은 11월 29일 29일차이다.코드 정리 및 주석(프론트엔드)오늘은 계획했던 대로 코드 정리를 하고 주석을 달아줬다.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려서 프론트엔드 쪽만 해주었다. 보다보니 예전에 짠 코드들은 확실히 많이 부족한 티가 난다. 그런 부분들은 새롭게 고쳐주고,
오늘은 11월 28일 28일차이다.오류 해결solverPage에 makerPage로 가는 버튼 추가발생한 오류는 solverPage에서 단어를 다 지워서 빈 칸 상태일 때 loadPage에서는 맨 앞 글자가 남아있는 오류이다. 해결을 위해서 구조를 조금 바꾸어주었다.기
오늘은 11월 27일 27일차이다.배포 준비하기계획을 좀 바꿨다. 원래는 내가 공부했던 책에 소개되어 있던 대로 AWS나 GCP로 준비하려고 했으나, 아직은 내가 그럴 수준이 안 되는 것 같아 가상화 컨테이너 같은 내용들을 습득하고 난 후에 한 번 공부해봐야겠다. 오늘
오늘은 11월 26일 26일차이다.페이지들끼리 연결delete 시 다시 확인하는 과정 추가solvePage는 따로 연결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어차피 maker가 링크를 공유하면 solver들이 거기로 접속하여 wordle을 푸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maker
오늘은 11월 25일 25일차이다.maker가 loadPage에서 자신의 wordle을 지울 수 있도록 구현loadPage에 delete wordle 버튼을 추가했다. 버튼을 클릭하면 서버에 DELETE /load/delete/:maker 요청이 가서 세션을 지우고,
오늘은 11월 24일 24일차이다.오류 해결(한 번씩 컬러링된 단어가 서버로 전달되지 않음)오늘은 오류 해결만 진행했다. 오류는 한 단어를 입력하고, 색칠이 될 때 서버로 단어가 전달되지 않아서 서버에서는 색칠되지 않은 단어만을 저장하는 오류이다. 원인은 useEffe
오늘은 11월 23일 23일차이다.오류 해결드디어 가닥이 잡혔다. 어제 발생했던 오류는 array 메서드를 잘 못 써서 발생한 것이였다. 단어를 입력하면 나는 wordList.splice()를 통해 wordList를 업데이트해줬는데, wordList.splice는 반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