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과 객체 지향

박찬우·2023년 12월 7일
0

스프링

목록 보기
2/88
post-thumbnail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개의 독립된 단위, 즉 객체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 컴퓨터 부품 갈아 끼우듯이 컴포넌트를 쉽고 유연하게 변경하면서 개발할 수 있는 방법

객체 지향의 특징
1. 추상화

  • 객체의 공통적인 속성과 기능을 추출하여 정의하는것
  1. 상속
  • 상위 클래스로부터 확장된 여러 개의 하위 클래스들이 모두 상위 클래스의 속성과 기능들을 간편하게 사용하는 것
  1. 캡슐화
  • 서로 연관있는 속성과 기능들을 하나의 캡슐(capsule)로 만들어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것
  1. 다형성
  • 어떤 객체의 속성이나 기능이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성질
  • 역할과 구현으로 세상을 구분
  • 역할 = 인터페이스
  • 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구현 객체
  • 클라이언트는 대상의 역할(인터페이스)만 알면됨
  • 클라이언트는 내부구조를 몰라도 됨
  • 클라이언트는 내부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음
  • 클라이언트는 대상 자체를 변경해도 영향을 받지 않음
  • 자동차가 바뀌어도 자동차의 역할과 운전자의 역할은 바뀌지 않는다.

자바 언어의 다형성

  • 오버라이딩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가 실행)
  • 다형성으로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클래스 상속관계도 다형성, 오버라이딩 적용 가능

객체 설계 시

  • 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분리
  • 객체 설계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 만들기

객체의 협력이라는 관계

  • 혼자있는 객체는 없다
  • 클라이언트 : 요청
  • 서버 : 응답
  • 수 많은 객체 클라이언트와 객체 서버는 서로 협력 관계를 가진다.

다형성의 본질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다형성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협력이라는 객체사이의 관계에서 시작해야함
  •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형성의 한계

  • 역할 자체가 변하면 클라이언트 서버 모두 큰 변경이 발생
  • 예를 들어 자동차를 비행기로 변경해야 한다면?
  •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하는 것이 중요

역할과 구현을 분리

  • 실세계의 역할과 구현이라는 편리한 컨셉을 다형성을 통해 객체 세상으로 가져올
    수 있음
  •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
  • 확장 가능한 설계
  •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않는 변경 가능
  •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하는 겻이 중요

스프링과 객체 지향

  • 다형성이 가장 중요
  • 스프링은 다형성을 극대화해서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줌
  • 스프링에서 이야기하는 제어의 역전 의존관계 주입은 다형성을 활용해서 역하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
  • 스프링을 사용하면 마치 레고 블럭 조립하듯이 구현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음
profile
진짜 개발자가 되어보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