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분야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 쓰이는 이미지 파일 포맷. 일반적으로 래스터 그래픽스라고 한다. 비트맵은 화면상의 각 점들을 직교좌표계로 사용하여 픽셀 단위로 나타낸다. (픽셀 이미지)그림을 확대하면 각 점이 그대로 커져 경계선 부분이 각진 형태로 보이는
1. 비트맵 특징 1-1. 표현 색상 수 비트맵 이미지는 한픽셀을 처리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1비트, 2비트, 4비트, 8비트, 15비트, 16비트, 24비트, 32비트 등이 있다. 1, 4, 8, 비트 비트맵 이미지는 팔레트 방식으로 이미지에서 사용하는 색상의 종류를
비트맵 이미지는 한픽셀을 처리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1비트, 2비트, 4비트, 8비트, 15비트, 16비트, 24비트, 32비트 등이 있다.1, 4, 8, 비트 비트맵 이미지는 팔레트 방식으로 이미지에서 사용하는 색상의 종류를 미리 정해 놓고 이미지의 데이터에서는 색상의
1. 픽셀 표현 방법 비트맵 파일은 픽셀 하나를 몇 비트로 저장하느냐에 따라 구조가 달라진다. 픽셀당 1, 4, 8 비트 각각의 주소 공간을 하나하나 기준 세워서 각각의 주소에 해당 색상을 하나하나 대응 (팔레트 / 색상테이블) 픽셀당 16, 24, 32 비트 비
10x4 크기의 흰색 이미지 (격자 표시는 이해를 돕기 위한 표현입니다.)이 비트맵 파일을 Hex에디터로 열어보면 아래와 같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비트맵 파일 헤더 (14byte) 이다.크기를 계산할 때는 '리틀 엔디안'으로 계산한다. 이후에는 리틀 엔디안을 직
TEST 1. 5x5 크기의 24비트 이미지 (격자 표시는 이해를 돕기 위한 표현입니다.) 비트맵 파일 헤더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비트맵 파일 헤더 (14byte) 이다. bfType 42 4D (BM) BMP 파일 식별자 bf
해상도 (DPM, DPI) 비트맵 정보 헤더(DIB)를 보면 biXPelsPerMeter, biYPelsPerMeter항목이 있다. 비트맵 이미지의 가로(세로) 해상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DPM이라고 표현한다. DPM은 Dots Per Meter의 약자로 1미터 안에
1. Netpbm 이란 > Netpbm Netpbm (이전의 Pbmplus)은 그래픽 프로그램 및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의 오픈 소스 패키지입니다. 주로 Unix 세계에서 사용되며 모든 주요 오픈 소스 운영 체제 배포판에 포함되어 있지만 Microsoft Windows
헤더 매직넘버는 P1헤더 최대값 항목은 없다 (흑백 두 가지 색상만 표현하므로 암시적으로 1)단일 비트 픽셀을 ASCII "0"또는 "1"로 저장한다 (0:흰색, 1:검정색)다음은 9x11 크기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P1 파일이다.P19 110 0 0 0 1 0 0 0
PGM (P2) 헤더 매직넘버는 P2 헤더 최대값 항목은 명암도 등급을 나타낸다 단일 비트 픽셀을 ASCII 형식의 하나의 값을 저장한다 다음은 5x8 크기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P2 파일이다. P2 5 8 15 15 15 8 15 15 15 8 8 8 15 8 8
헤더 매직넘버는 P3헤더 최대값 항목은 명암도 등급을 나타낸다각 픽셀을 ASCII 형식의 3개의 십진수 값(R,G,B)으로 저장한다다음은 3x2 크기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최대값이 255인 P3 파일이다.P33 2255255 0 0 0 255 0 0 0 25525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