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을 관리하고 업데이트하기 위해서 Analytics와 Crashlytics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방법
JWT란 무엇이고, 안드로이드에서 JWT를 자동 재발급 받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File URI와 Content URI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실제 카메라에서 File Provider와 Content URI를 활용해 이미지를 가져와보기
시스템 UI상관없이 뷰를 가득차게 만드는 방법, Window Insets이 무엇이고 Compose에서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나중에 내가 유용하게 쓸 패스워드 용 BasicTextField 커스텀
구글에서 권장하는 Compose의 State관리를 나만의 언어로 바꾸어 설명해보자. 또한 Compose Navigation을 사용하며 return intent를 구현해보자.
컴포즈에서 Jetpack의 페이징 라이브러리 사용해보기, 폴더별 이미지 가져와서 커스텀 갤러리 만들기
효율적인 콜렉션 처리를 위해 1. 시퀀스를 사용하라, 2. 컬렉션 처리 단계수를 제한하라, 3. 기본 자료형 배열을 사용하라, 4. mutable 컬렉션을 사용하라 끝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 객체생성을 지연시키는 lateinit / lazy가 어떻게 돌아갈까?
함수앞의 inline한정자는 무엇이고, 언제 사용해야하는가? 또한 사용함에 따라 장점과 단점이 무엇인지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