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가독성 - 프로퍼티란??, 이름 있는 아규먼트의 사용, 코딩컨벤션 지키기

Falco·2022년 9월 25일
0

EffectiveKotlin

목록 보기
13/37
post-custom-banner

프로퍼티란??

kotlinlang-properties

코틀린 클래스에서의 프로퍼티는 수정가능한 프로퍼티var과 read-only 읽기전용 프로퍼티 val로 나뉜다.

class Address {
    var name: String = "Holmes, Sherlock"
    var street: String = "Baker"
    var city: String = "London"
    var state: String? = null
    var zip: String = "123456"
}

프로퍼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름으로 참조가 가능하다.

val result = Address() // deafult값으로 다 선언되어 있음
result.name = address.name // Holmes, Sherlock
result.street = address.street

Getters와 Setters

프로퍼티를 정의하는 전체 문법은 다음과 같다.

var <propertyName>[: <PropertyType>] [= <property_initializer>]
    [<getter>]
    [<setter>

생성자 게터, 세터의 정의는 Optional이며 프로퍼티의 타입은 코틀린의 타입추론에 의해 자동으로 추론된다.

var initialized = 1
var initialized: Int = 1 // Equal

변수를 읽기전용 프로퍼티인 val로 선언하면 setter를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프로퍼티에 대해 커스텀 접근자를 선언이 가능하다. 이말은 즉 커스텀 getter을 활용하여 해당 프로퍼티에 접근할 때 어떠한 작업을 수행한 결과 값을 리턴할 수 있다.

class Rectangle(val width: Int, val height: Int) {
    val area: Int // getter의 리턴타입으로 추론되는 타입
        get() = this.width * this.height 
}

또한 커스텀 setter을 활용하여 해당 프로퍼티에 값을 정의할 때 이를 커스텀할 수 있다.

var stringRepresentation: String
    get() = this.toString()
    set(value) {
        field = setDataFromString(value) // 해당 함수의 리턴값이 assign된다.
    }

컨벤션에 따라 setter의 파라미터는 value로 정의한다.

Backing fields(백킹 필드)

코틀린에서 필드는 프로퍼티의 일부로써 값을 잠시 메모리에 잡아두기 위해 사용된다. Fields는 직접적으로 선언될 수 없으며 프로퍼티가 백킹필드가 필요할 때 자동으로 제공해준다. 백킹필디는 field접근자를 활용하여 참조한다.

var counter = 0 //  초기 initializer는 백킹필드에 직접 적용된다.
    set(value) {
        if (value >= 0)
            field = value
            // counter = value // ERROR StackOverflow : counter라는 프로퍼티에 set을 재귀적으로 불르고 있음
    }

백킹필드는 하나이상의 기본 접근자가 사용되거나, 커스텀 접근자에 의해 참조될 때 field를 통해 자동 생성된다.

다음예는 백킹필드가 생성되지 않는다.

val isEmpty: Boolean
    get() = this.size == 0

Backing properties(백킹 프로퍼티)

백킹 필드를 이용하고 싶지 않다면 백킹 프로퍼티를 사용할 수 있다.

private var _table: Map<String, Int>? = null
public val table: Map<String, Int>
    get() {
        if (_table == null) {
            _table = HashMap() // Type parameters are inferred
        }
        return _table ?: throw AssertionError("Set to null by another thread")
    }

프로퍼티는 동작이 아니라 상태를 나타내야 한다.

var을 사용해서 커스텀 게터와 세터를 정의한 프로퍼티를 파생 프로퍼티(derived property)라고 부른다.

코틀린의 모든 프로퍼티는 디폴트로 캡슐화가 되어있다.
프로퍼티는 필드가 필요가 없다. 프로퍼티는 개념적으로 접근자val의 경우 게터, var의 경우 세터와 게터로 나타낸다. 따라서 코틀린은 인터페이스에서도 프로퍼티를 정의할 수 있다.

interface Person {
	val name: String
}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이는 게터를 가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으로 다음과 같이 오버라이드할 수 있다.

class Student: Person() {
	override val name: String = "해찬"
}

다음과 같이 프로퍼티를 위임할 수도 있다.

val Context.perferences: SharedPreferences
	get() = PreferenceManager.getDefaultSHaredPreferences(this)

프로퍼티를 함수 대신 사용할 수 있지만 완전히 대체해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다음과 같은 예를 보자.

val Tree<Int>.sum: Int
	get() = when (this) {
    	is Leaf -> value
        is Node -> left.sum + right.sum
    }

이러한 처리는 프로퍼티가 아니라 함수로 구현해야 한다.

val Tree<Int>.sum: Int = when (this) {
    	is Leaf -> value
        is Node -> left.sum + right.sum
    }

프로퍼티는 상태를 나타내거나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프로퍼티 대신 함수를 사용해야하는 예이다.

  • 연산 비용이 높거나, 복잡도가 O(1)보다 큰 경우
  •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하는 경우
  • 결정적이지 않은 경우 -> 같은 동작을 여러번했을 때 다른 값이 나오는 경우
  • 변환의 경우 -> Int.toDouble()과 같은 경우 프로퍼티로 만들면 오해의 소지가 있다.
  • 게터에서 프로퍼티의 상태 변경이 일어나야 하는 경우

반대로 상태를 추출/설정할 때는 프로퍼티를 사용해야 한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함수를 사용하면 안된다.

// 이렇게 하지 마세요!
class UserIncorrect {
	private var name: String = ""
    
    fun getName() = name
    
    fun setName(name: String) {
    	this.name = name
    }
}

calss UserCorrect {
	var anme: String = ""
}

프로퍼티는 상태 집합을 나타내고, 함수는 행동을 나타낸다.


이름 있는 아규먼트를 사용하라

코드에서 아규먼트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val text = (1..100).joinToString("|")

다음 코드를 보고 "|"로 구분을 하는건지 합친다는 것인지 한눈에 알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파라미터는 이를 직접 지정해서 명확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름 있는 아규먼트를 사용하자

val text = (1..100).joinToString(separator = "|")

또는 변수를 활용해서 의미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val separator = "|"
val text = (1..100).joinToString(separator = separator)

이름있는 아규먼트는 언제 사용해야 할까?

이름 있는 아규먼트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이름을 기반으로 값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알 수 있다.
  • 파라미터 입력 순서와 상관 없음으로 안전하다.

어떠한 람다함수가 무슨 행동을 하는지, 순서가 바뀌어도 명확하다.

  • 디폴트 아규먼트가 있는경우
  • 같은 타입의 파라미터가 많은 경우
  • 함수 타입의 파라미터가 있는 경우
		repository.getData(
			{ setIsLoading(true) },
			{ setIsLoading(false) },
			{ setOnErrorMsg(it) },
			{ setOnException(it) },
			{ setOnFailureMsg(it) }
		)
        // And
		repository.getData(
			onStart = { setIsLoading(true) },
			onComplete = { setIsLoading(false) },
			onError = { setOnErrorMsg(it) },
			onException = { setOnException(it) },
			onFailure = { setOnFailureMsg(it) }
		)

이름있는 아규먼트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이해하기 쉽다.

이는 개발자가 코드를 읽을 때도 편리하게 활용되며, 코드의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함수에 같은 타입의 라파미터가 여러개인 경우, 함수 타입의 파라미터가 있는 경우, 옵션 파라미터가 있는 경우 등은 이름 있는 아규먼트를 활용하자.

코딩 컨벤션을 지키자

코딩 컨벤션을 지켜야 하는 이유

  • 어떤 프로젝트를 접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다른 외부 개발자도 프로젝트의 코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다른 개발자도 코드의 작동 방식을 쉽게 추측할 수 있다.
  • 코드를 병합하고, 한 프로젝트의 코드 일부를 다른 코드로 이동하는 것이 쉽다.

코딩 컨벤션을 확실하게 읽고, 정적 검사기 static checker를 활용하여 코딩 컨벤션의 일관성을 준수하자.

profile
강단있는 개발자가 되기위하여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