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란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저장소를 말한다. 캐시에 접근하는 것이 원래 데이터를 얻는 시간보다 훨씬 빠르다. 웹 캐시는 웹에서 필요한 데이터나 값을 저장해놨다가 다시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처음 접속한 페이지를 불러올 때 서버로부터 js 파일을 받
처음 코딩을 시작할 때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문제를 푼적이 분명 있다.2중 for문을 활용해서 2수를 모두 나머지 0으로 나눌 수 있는 가장 큰 값을 구하는 방법이었을 것 이다. 하지만 만약 두 수의 크기가 엄청나게 크다면 O(N2)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일반적으로
처음 Chrome Lighthouse로 성능을 확인하면 Avoid enormous network payloads라는 항목에서 예상치 못한 녀석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바로 폰트입니다.막대한 네트워크 페이로드 방지대규모 네트워크 페이로드는 긴 로드 시간과 높은 상관관계가
브라우저 브라우저는 URI에 따라 서버에 자원을 요청하고, HTML과 CSS 명세에 따라 HTML 파일을 해석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브라우저의 구조 유저 인터페이스 - 주소 표시줄, 이전, 다음, 새로고침 버튼 등 웹페이지를 제외하고 사용자와 상호작
변수(Variable)는 우리가 여태 너무 당연하게만 써오던 용어입니다. 근데 혹시 변수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정확히 설명하실 수 있나요? 일단 저는 못했습니다. 반성의 의미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역시 누군가에게 설명하거나 글을 작성할 때가 되면 내가 설명하고자
Three.js 란? 웹에서 3d를 구현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입니다. > Three.js 를 사용한 페이지 https://github.com/home 깃허브 https://eyes.nasa.gov/apps/mars2020/#/home 나사 https://
Web Dynamic Map 패닝, 줌인아웃 등 인터랙티브가 가능한 동적 지도를 보여줍니다. Mobile Dynamic Map 네이버 지도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기능(벡터 지도)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Static Map 요청된 URL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웹 페
최근에 밀리의 서재 라는 앱을 깔아서 한달 무료체험 중이다. 베스트셀러에 있는 책중에 이름이 특이해서 골라서 읽게 되었다. 며칠전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고전을 읽고 읽어서 그런지 글이 가벼워 술술 읽혔다. 그렇다고 재밌는 책은 아니다. 오히려 읽으면서 이 책이 도대체 어
집계, 통계를 처리할 때 Aggregation-PipeLine을 사용하면 된다파이프라인의 각 단계 출력이 다음 단계의 입력 데이터로 제공된다.파이프라인 배열 안에 Stage가 오브젝트 형식으로 배치된다.Document는 파이프라인 배열의 Stage 순서대로 가공된다.각
리액트에서 서버로 이미지를 업로드 하려면 보통 FormData를 사용한다. 우리도 FormData로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문제없이 구현해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웹에서 테스트할 때는 문제가 없었지만, 안드로이드 웹앱으로 배포한 환경에서는 안되는 것이었다 !결국에 해
반려동물 동반 숙박 웹앱을 개발 중에 소셜로그인을 구현할 단계가 되었다. 계속 다른 이슈들 때문에 미루고 번거로워서 미루고 하다가 이제는 소셜로그인만 남았다.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려면 카카오에 애플리케이션 등록을 해야한다.카카오 개발자 페이지애플리케이션 등록을 하는 과
프로젝트의 마지막 단계에서 지지부진하여서 7월이 오기전까지만 사무실에 모여서 10시부터 6시까지 다 같이 일하기로 하였다. (사무실은 학교에서 지원받음)늘 데스크톱으로 코딩하다가 오랜만에 노트북으로 코딩하게 되었다. 노트북에 프로젝트의 개발환경 세팅이 안되어
개발 동기 HCI(Human Computer Intergration) 수업을 듣는 중 팀프로젝트 과제가 생겼다. HCI 주제들 중에서 자유롭게 선정해서, User Exprience를 개선할 수 있는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무엇을 주제로 정해야 하나 고민하고 찾아보던
figma를 보고 화면을 만드는 중... 분명 figma 그대로 폰트 속성 값들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폰트가 미세하게 다른 것을 확인했다. Spoqa Han Sans Neo라는 폰트를 사용했는데, 내가 font를 잘못 다운받아서 넣었나 싶었다. 굵기(font-we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