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개념과 연결방식

기운찬곰·2020년 9월 30일
0

Computer Science

목록 보기
20/27
post-thumbnail

네트워크 개념

이미지 출처 : https://wogh8732.tistory.com/13

인터넷은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개의 컴퓨팅 장치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입니다. 그리고 그 구조에 따라서 3가지로 분류할 수 있겠습니다.

  • 호스트(=종단시스템) : 일반적으로 컴퓨터, 서버 등을 의미했습니다만 요즘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게임 콘솔, 가전제품 등 수많은 사물들을 의미합니다. 이들 모든 장치는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의 가장 끝에 위치한다고 해서 호스트 혹은 종단시스템이라고 부릅니다.

  • 패킷 스위치 : 라우터, 스위치 등을 의미합니다. 패킷을 송신종단시스템에서 수신종단시스템으로 최적의 경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통신 링크 :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등을 포함한 물리매체를 의미합니다. 그림에서 보면 선을 의미합니다.


추가적인 개념으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와 프로토콜에 대해 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흔히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라고도 하는데 종단시스템을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인터넷 접속 수단을 제공하는 주체를 가리킵니다. 우리나라로 따지자면 통신 3사인 KT, SKT, LG가 대표적이겠네요. 그리고 이러한 ISP들도 서로 연결이 되어야만 합니다.

프로토콜 : 포맷을 정의하고 약속하며 순서를 정한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한마디로 표준이라는 말이 되겠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특히 TCP/IP 프로토콜을 준수 해야 합니다.


접속 네트워크

이제부터는 가정에서와 혹은 회사에서 네트워크가 어떤식으로 연결되어있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DSL(Digital Subscriber Line)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xDSL은 지역 전화망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기술의 계열입니다. DSL은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며, 일반 전화는 낮은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미지 출처 : http://computer-hardware-peripherals.blogspot.com/2009/01/asymmetric-digital-subscriber-line.html

가정은 유선 로컬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같은 지역 전화 회사(telco)로부터 DSL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받습니다.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전호회선과 인터넷 연결이 동시에 DSL 링크를 공유할 수 있게 합니다.

DSL 기술은 ADSL, VDSL, SDSL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2. Cable Network (케이블 인터넷)

케이블 TV 회사의 기존 케이블 TV 기반 구조를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가정은 케이블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같은 회사로부터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받습니다.

건물 근처까진 광케이블이 가고, SK브로드밴드와 LG U+와 같은 케이블 TV 사업자들은 상위 장비에서 방송 신호가 추가되어 같이 교점망으로 들어가서 이후 분배기와 연결되어 텔레비전용인 동축 케이블로 인터넷 신호를 송·수신합니다. 이런식으로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HFC(광동축혼합망, 유사광랜) 라고 합니다.

과거 구형 아파트, 빌라는 전부 HFC(광동축혼합망, 유사광랜)방식인 케이블 모뎀 방식으로 비대칭형 인터넷을 제공하였으나, 최근에 완공된 신축 아파트, 빌라에는 3대 이동통신사(SK브로드밴드, KT, LG U+)가 사용하는 대칭형 인터넷 FTTB, FTTH 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FTTx 서비스를 확대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HFC 방식은 이용자가 점점 축소되고 있습니다.

3. FTTx (광랜)

Fiber To The x라는 의미로, 광케이블을 어디까지 보내느냐에 따른 여러 기술을 총칭합니다.

  • FTTN : 전신주나, 길가까지 광 케이블이 깔리고 이후 집안까지는 랜선이 들어오는 방식으로 과거 FTTH가 상용화 되기 전 KT의 주택 광랜이 이러한 형식을 띱니다. 현재는 FTTH로 교체가 되고 있는 중이고, LG유플러스의 주택광랜 중 일부가 이 방식을 쓴다고 합니다.

  • FTTC : 영국의 사업자 BT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설치한 시설물입니다. FTTC는 이 시설까지 광케이블이 들어가고, 이것으로부터 각 가정집까지는 구리선으로 연결됩니다. FTTH가 대중화되기 전까지 쓰인 기술입니다.

  • FTTB : 건물까지만 광케이블이 들어가고 이후 각각의 집안에는 랜선으로 연결하는 경우로서, 아파트에서 서비스되는 광랜이 이 경우에 속합니다. LG U+, SK브로드밴드, KT 인터넷 같은 메이저 인터넷 업체들 모두 이용하고 있는 방식입니다.

  • FTTH : 모든 가정집까지 광케이블을 보내는 것으로, FTTx의 일반적인 최종 목표입니다. 기가 인터넷이라는 게 나오면서 최고의 자리를 넘겨주긴 했으나, 기가 인터넷도 사실 FTTH 방식을 사용합니다. 어지간한 폭우 등 악천후에서도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주로 2006~2007년 이후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대부분 1등급 아파트이므로 어지간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FTTH로 서비스 됩니다. 다만 비용이 워낙 많이 든다고...

4. Ethernet(이더넷)

사무실, 학교, PC방 등의 LAN(근거리 통신망) 환경에서 거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네트워크 구성 방식입니다.

주로 Twisted Pair 케이블을 사용하는데 이는 케이블 내부에 서로 꼬여 있는 전선 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입니다.

최근들어서는 무선랜(wireless LAN)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두 대 이상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Wi-Fi라는 마케팅 네임으로 흔히 알려져있습니다.


마침

뭔가 알거 같으면서도 어려운 개념인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지금도 가정에서, 학교에서 인터넷을 자유롭게 쓰고 있지만 어떻게 인터넷을 쓸 수 있는건지, 어떤식으로 내부가 동작하는지는 궁금해하지 않았던거 같습니다.

그리고 사실 지금도 제가 살고 있는 아파트가 어떤 접속방식을 써서 집까지 연결 되어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광케이블이 깔려있고 아파트 전산실에서 연결이 되면서 집과 연결되어있는거 같은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연결되어있는지는... 문의를 해봐야 알거 같네요 😢😢

다음시간에는 좀 더 큰 범위에서 네트워크가 어떻게 연결이 되어있는지 살펴보고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이 어떤식으로 교환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eferences

profile
배움을 좋아합니다. 새로운 것을 좋아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