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는 택배상자를 트럭에 싣는 일을 합니다. 영재가 실어야 하는 택배상자는 크기가 모두 같으며 1번 상자부터 n번 상자까지 번호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컨테이너 벨트에 일렬로 놓여 영재에게 전달됩니다. 컨테이너 벨트는 한 방향으로만 진행이 가능해서 벨트에 놓인 순서대로(1번 상자부터) 상자를 내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컨테이너 벨트에 놓인 순서대로 택배상자를 내려 바로 트럭에 싣게 되면 택배 기사님이 배달하는 순서와 택배상자가 실려 있는 순서가 맞지 않아 배달에 차질이 생깁니다. 따라서 택배 기사님이 미리 알려준 순서에 맞게 영재가 택배상자를 실어야 합니다.
만약 컨테이너 벨트의 맨 앞에 놓인 상자가 현재 트럭에 실어야 하는 순서가 아니라면 그 상자를 트럭에 실을 순서가 될 때까지 잠시 다른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하지만 고객의 물건을 함부로 땅에 둘 수 없어 보조 컨테이너 벨트를 추가로 설치하였습니다. 보조 컨테이너 벨트는 앞 뒤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입구 외에 다른 면이 막혀 있어서 맨 앞의 상자만 뺄 수 있습니다(즉, 가장 마지막에 보조 컨테이너 벨트에 보관한 상자부터 꺼내게 됩니다). 보조 컨테이너 벨트를 이용해도 기사님이 원하는 순서대로 상자를 싣지 못 한다면, 더 이상 상자를 싣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영재가 5개의 상자를 실어야 하며, 택배 기사님이 알려준 순서가 기존의 컨테이너 벨트에 네 번째, 세 번째, 첫 번째, 두 번째, 다섯 번째 놓인 택배상자 순서인 경우, 영재는 우선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상자를 보조 컨테이너 벨트에 보관합니다. 그 후 네 번째 상자를 트럭에 싣고 보조 컨테이너 벨트에서 세 번째 상자 빼서 트럭에싣습니다. 다음으로 첫 번째 상자를 실어야 하지만 보조 컨테이너 벨트에서는 두 번째 상자를, 기존의 컨테이너 벨트에는 다섯 번째 상자를 꺼낼 수 있기 때문에 더이상의 상자는 실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트럭에는 2개의 상자만 실리게 됩니다.
택배 기사님이 원하는 상자 순서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order가 주어졌을 때, 영재가 몇 개의 상자를 실을 수 있는지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 1 ≤ order의 길이 ≤ 1,000,000
- order는 1이상 order의 길이 이하의 모든 정수가 한번씩 등장합니다.
- order[i]는 기존의 컨테이너 벨트에 order[i]번째 상자를 i+1번째로 트럭에 실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입출력 예
order result [4, 3, 1, 2, 5] 2 [5, 4, 3, 2, 1] 5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모든 상자를 보조 컨테이너 벨트에 모두 넣고, 역순으로 하나씩 빼서 트럭에 싣습니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stack>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vector<int> order) {
int answer = 0;
queue<int> orderque;
stack<int> subcon;
queue<int> maincon;
for(int i = 0; i < order.size(); i++)
{
maincon.push(i+1);
}
for(auto& package : order)
{
orderque.push(package);
}
while(!orderque.empty())
{
if(!maincon.empty() && maincon.front() == orderque.front())
{
maincon.pop();
orderque.pop();
answer++;
}
if(!subcon.empty() && subcon.top() == orderque.front())
{
subcon.pop();
orderque.pop();
answer++;
}
if(!maincon.empty() && maincon.front() != orderque.front())
{
subcon.push(maincon.front());
maincon.pop();
}
if(!subcon.empty() && maincon.empty() && orderque.front() != subcon.top())
{
break;
}
}
return answer;
}
- 택배 기사님이 원하는 상차순서를 담은 큐
orderque- 영재에게 전달되는 메인 컨베이어 큐 (1번부터 n번까지 오름차순)
maincon- 원하는 순서가 아닐 때 잠시 옮겨놓을 보조 컨베이어 스택
subcon
1. 초기화 작업
maincon에는 1부터 order의 크기 n만큼 순서대로 담아준다.orderque에는 주어진 order를 순서대로 담아준다.2. 루프 설정
orderque가 빌 때까지 while 루프를 돌린다.
maincon혹은subcon의top() 혹은 front()와orderque.front()가 일치할 경우 현재 상자가 트럭에 실어야 하는 순서에 해당하므로 큐/스택에서 제거하고answer++maincon.front()와orderque.front()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현재 상차 순서가 아니므로 보조 컨베이어subcon으로 옮긴다.- (중요) while문 탈출 조건 -> 더 이상 순서대로 실을 수 없을 경우인데,
maincon에subcon으로 옮길 상자가 더 이상 없고,subcon.top()과orderque.front()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더 이상 할 수 있는 것이 없으므로 break로 빠져나와 answer를 반환한다.
어떤 숫자에서 k개의 수를 제거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숫자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숫자 1924에서 수 두 개를 제거하면 [19, 12, 14, 92, 94, 24] 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중 가장 큰 숫자는 94 입니다.
문자열 형식으로 숫자 number와 제거할 수의 개수 k가 solution 함수의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umber에서 k 개의 수를 제거했을 때 만들 수 있는 수 중 가장 큰 숫자를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조건
- number는 2자리 이상, 1,000,000자리 이하인 숫자입니다.
- k는 1 이상 number의 자릿수 미만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number k return "1924" 2 "94" "1231234" 3 "3234" "4177252841" 4 "775841"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string number, int k) {
string answer = "";
int remainsubs = k;
stack<char> answerstack;
for(char digit : number)
{
while(!answerstack.empty() && remainsubs > 0 && answerstack.top() < digit)
{
answerstack.pop();
remainsubs--;
}
answerstack.push(digit);
}
while(remainsubs > 0)
{
answerstack.pop();
remainsubs--;
}
while(!answerstack.empty())
{
answer += answerstack.top();
answerstack.pop();
}
reverse(answer.begin(), answer.end());
return answer;
}
number의 모든 문자를 스택에 넣는다.k가 남아있고, 스택의 맨 위(answerstack.top())와 순회 순서인 문자를 비교하여 순회 순서 문자 digit이 더 크다면 스택에서 빼고 digit을 넣는다.answerstack의 크기가 number.size() - k보다 클 수도 있다. 그렇다는 것은 remainsubs가 0보다 크다는 뜻이므로 remainsubs가 0이 될 때까지 pop() 해준다.stack을 answer로 옮긴다. stack의 구조상 LIFO이므로 일의 자리 숫자가 먼저 오게 된다. reverse로 뒤집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