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3.28 알고리즘 코드카타

재석 블로그·2025년 3월 28일
0
post-thumbnail

알고리즘 코드카타 - 105. 쿼드압축 후 개수 세기

문제 링크

풀이 참고1 : https://yabmoons.tistory.com/596
풀이 참고2 : https://ansohxxn.github.io/programmers/93/

문제 설명

0과 1로 이루어진 2n x 2n 크기의 2차원 정수 배열 arr이 있습니다. 당신은 이 arr을 쿼드 트리와 같은 방식으로 압축하고자 합니다.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신이 압축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을 S라고 정의합니다.
2. 만약 S 내부에 있는 모든 수가 같은 값이라면, S를 해당 수 하나로 압축시킵니다.
3. 그렇지 않다면, S를 정확히 4개의 균일한 정사각형 영역(입출력 예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으로 쪼갠 뒤, 각 정사각형 영역에 대해 같은 방식의 압축을 시도합니다.

arr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arr을 압축했을 때, 배열에 최종적으로 남는 0의 개수와 1의 개수를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의 행의 개수는 1 이상 1024 이하이며, 2의 거듭 제곱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즉, arr의 행의 개수는 1, 2, 4, 8, ..., 1024 중 하나입니다.
  • arr의 각 행의 길이는 arr의 행의 개수와 같습니다. 즉, arr은 정사각형 배열입니다.
  • arr의 각 행에 있는 모든 값은 0 또는 1 입니다.

입출력 예

arrresult
[[1,1,0,0],[1,0,0,0],[1,0,0,1],[1,1,1,1]][4,9]
[[1,1,1,1,1,1,1,1],[0,1,1,1,1,1,1,1],[0,0,0,0,1,1,1,1],[0,1,0,0,1,1,1,1],[0,0,0,0,0,0,1,1],[0,0,0,0,0,0,0,1],[0,0,0,0,1,0,0,1],[0,0,0,0,1,1,1,1]][10,15]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다음 그림은 주어진 arr을 압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입니다.

  • 최종 압축 결과에 0이 4개, 1이 9개 있으므로, [4,9]를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다음 그림은 주어진 arr을 압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입니다.
  • 최종 압축 결과에 0이 10개, 1이 15개 있으므로, [10,15]를 return 해야 합니다.

풀이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void DFS(int x, int y, vector<int>& answer, vector<vector<int>>& arr, int size)
{
    int sum = 0;
    // 현재 영역 순회
    for(int i = x; i < x + size; i++)
    {
        for(int j = y ; j < y + size; j++)
        {
            sum += arr[i][j];
        }
    }
    //0 혹은 1로만 이루어져있다면 정답 배열에 추가하고 종료
    if(sum == 0)
    {
        answer[0]++;
        return;
    }
    else if(sum == size * size)
    {
        answer[1]++;
        return;
    }
    
    // 그렇지 않다면 현재 영역을 4개의 영역으로 나누기
    DFS(x, y, answer, arr, size/2); // 2사분면
    DFS(x + size/2, y, answer, arr, size/2); // 1사분면
    DFS(x, y + size/2, answer, arr, size/2); // 3사분면
    DFS(x + size/2, y + size/2, answer, arr, size/2); // 4사분면
}

vector<int> solution(vector<vector<int>> arr) {
    vector<int> answer(2,0);
    int size = arr.size();
    DFS(0, 0, answer, arr, size);
    return answer;
}
  • 문제의 핵심은 재귀호출이다. 처음 문제를 읽고 한 영역에 한 가지 수만 남을 때까지 어떻게 계속 나눌 것이며, 한 가지 수만 남아있다고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를 고민했다. while로 해야하나, 고민했는데 다른 풀이를 보니 결국 재귀호출이었다.

  • 로직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문제 설명과 비슷하다.

    1. 현재 영역의 원소가 모두 0 혹은 1이 이라면, 해당하는 정답 배열에 ++한다.(종료 조건)
    2. 1번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현재 영역을 균일하게 4등분하고, 각 영역마다 1번을 실행한다.
    3. 종료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1~2를 반복한다.
  • 모두 0 아니면 1 인지 판단하는 것은 원소들을 더해보면 된다. 모두 0이라면 그 합이 0일 것이고, 모두 1이라면 영역의 원소의 개수만큼 합이 나올 것이다.

  • 그렇지 않다면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재귀 호출을 하는데, 각 영역의 좌상단을 시작점으로 잡고 호출한다.

profile
게임 개발자 재석의 블로그입니다.

0개의 댓글